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기술사62

소방기술사는 왜 1년에 3번이나 볼까? 소방기술사는 왜 1년에 3번이나 볼까? 소방기술사를 비롯한 여러 기술사 종목은 1년에 3번이나 시험을 치른다. 3번이나 치르니까 기회가 많네! 라고 생각만 했지 이거를 고민해본 적이 없었다. 그래서 생각이 난 김에 왜 1년에 3번이나 기술사 시험을 치르는지 적어보았다. ( 기술사 시험을 총괄하는 산업인력공단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닌, 개인의 생각이라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1. 기술사 시험이 1년에 3번이나 있는 이유 - 직장인들을 위한 시험 우선 기술사 시험이 어떤 사람들이 응시하고 합격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기술사는 기본적으로 경력이 필요한 시험이다. 기사, 산업기사 자격증이 없으면 9년의 경력이 채워져야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경력이 안되어도 시험 자체를 응시할 수 있으며, 경력이 모자라면 필기 합격.. 2023. 9. 25.
소방관련 기사, 개정 법규 볼 수 있는 사이트 7곳 소방관련 기사, 개정 법규 볼 수 있는 사이트 7곳 2023년 소방기술사 필기시험 트렌드는 '법규'이다. 법규에 관련된 문제가 많이 나오고, 개정된 법규를 물어보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고 있다. 아무래도 기본 개념문제는 너도 나도 잘 쓰기 때문에 차별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법규 관련 문제를 많이 출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법규 문제는 논리력, 사고력이 필요하지 않은 문제이다. 즉, 알고있으면 맞는 거고 모르면 100% 틀리는 거다. 그러면 채점관들도 채점하기가 매우 수월하다. 채점관 3명이서 1000명의 답안지, 약 64,000페이지를 채점하는 게 정말 힘들거다. 하지만 그래도 소방기술사가 소방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을 뽑는 시험인데, 법규 잘 안다고 뽑으면 안되지 않을까? 그래도 시험의 트렌.. 2023. 9. 21.
소방기술사 '이때' 공부해야 합니다 소방기술사 '이때' 공부해야 합니다 기술사는 1년에 시험이 3번 치러진다. (1번, 2번 치뤄지는 기술사도 있다) 전문직 시험 중에 1년에 3번이나 치르는 시험은 기술사가 유일하다. (변호사, 의사, 세무사 등 소위 전문직 시험이라 불리는 시험은 1년에 한번 본다) 기술사는 경력이 필요하고 대부분 직장인이기 때문에 1년에 3번 응시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전문직 시험은 직장인이 보지 않는다. 물론 이직을 위해 준비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다수의 수험생이 대학생이다. 기술사는 직장 경력이 있어야 합격이 가능하다.) 기술사 경력 유의할 점 - 군 경력 & 자격증 취득 시기 나의 목표는 닉네임에서도 알 수 있듯 소방기술사 취득이다. 소방기술사 취득 후에는 다른 기술사도 취득할 예정이다. 하지만 기.. 2023. 9. 20.
소방기술사 131회 시험후기 정리 - 푼 문제들과 느낌, 예상점수 소방기술사 131회 시험후기 정리 - 푼 문제들과 느낌, 예상점수2023년 8월 26일 131회 기술사 필기시험 치르신 분들 모두 고생많으셨습니다. 저는 131회 소방기술사를 치르고 왔습니다. 벌써 세번째 시험입니다. 공부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다보니 시험을 보면서 점점 제가 성장하는 게 느껴집니다. 이번 131회 소방기술사 목표 점수는 50점입니다. 보통 소방기술사 필기시험에서 50점을 받으면 합격할 수준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10월 11일에 점수 발표인데, 얼른 10월이 오길 바래봅니다.129회130회131회41.239.5목표 50점이번 포스팅에서는 131회에서 제가 푼 문제들을 정리하고 답안을 어떻게 작성했고 몇점을 받을 수 있을지 예상해보려고 합니다. 실제 점수는 채점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3. 8. 29.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를 공부하다보면 소방관련 법규가 정말 많다는 걸 알게된다. 근데 소방법 이외에도 건축법은 기본이고 기계, 안전 등과 관련된 여러 법규를 알아야 한다. 그 많은 법규 중에서도 중요한 설치제외 기준이 있다. 소방에서 가장 중요한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설치제외 기준이다. 물론 다른 소방설비도 중요하다. 제연, 가스계, 물분무, 소화기, 포소화, 분말 등 중요하지 않은 소화설비는 없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주로 쓰이는 소방설비가 감지기, 스프링클러이며 화재확산을 막는데, 방화구획 만한 게 없다. 그래서 이 3가지의 설치제외 기준은 알아두는 게 좋다. 감지기 설치제외 기준 1) 부식성 가스가 .. 2023. 8. 19.
[소방기술사]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소방기술사]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는 분포형 열 감지기이다. 넓은 범위의 열을 감지할 수 있다. 대표적인 비재용형 감지기로 열을 감지하면 절연물이 녹아내려 단락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대신 열을 감지한 부분만 교체하면 다시 전체 시스템을 재사용할 수 있다. 외부 먼지, 기류 등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오래 쓸 수 있다. 터널, 교량, 송유관 등 넓고 긴 장소에 많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감지기이다.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구조 1) 외피: 방수 및 내용물 보호기능 (색상에 따라 공칭작동온도 구분) 공칭작동온도 백색 청색 적색 80℃ 이하 80 ~ 120℃ 120℃ 초과 2) 가용절연물: 강철선을 둘러싸고 있는 에틸셀룰로스(비닐 성분, 해당 온도가 되면 .. 2023. 8. 13.
[소방기술사] 내화전선(FR-8), 내열전선(FR-3) 성능, 시공방법 (성능기준 개선) [소방기술사] 내화전선(FR-8), 내열전선(FR-3) 성능, 시공방법 (성능기준 개선) 소방설비의 99%는 상용전원(한전)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비상전원, 자가발전설비, ESS 등 배터리나 발전기로 전기를 스스로 공급하는 시설도 있지만 극히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래서 소방에는 전기가 매우 중요하다. 전기가 없으면 소방설비는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전선(electric wire)이 필요하다. 우리가 가스나, 수도를 공급받기 위해 배관이 필요한 것처럼 말이다. 소방에서 전선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내화전선과 내열배선이다. 내화전선, 내열전선으로 소방에서 사용하는 전선제품이 있다는 건 특별한 성능을 갖췄다는 거다. 바로 화재.. 2023. 8. 10.
[소방기술사] 광섬유 케이블 감지기 [소방기술사] 광섬유 케이블 감지기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광섬유를 알고계신가요? 광섬유는 어릴 때 많으 분들이 가지고 놀으셨을 텐데요. 광섬유란 빛을 보내는 일종의 관(Pipe)을 뜻합니다. 빛 자체를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빛의 속도로 이동해서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전선에서 전자들이 이동하는 속도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빠릅니다. 그래서 발열도 거의 없고, 반영구적 수명을 가지고 있어 광섬유를 활용한 데이터 전송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몇몇 아파트 단지에서는 인터넷 선을 광섬유 케이블로 교체한다는 현수막을 볼 수 있기도 합니다. 광섬유 케이블 감지기 작동원리 1. 광센서에서 Laser Pulse(이하 빛)를 송출 2. 화재가 아닌 상황에서는 빛이 일정하게 나아간다. 3. 화재 상황시 화열에 .. 2023. 8. 7.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 헤드 RTI, 표시온도 및 색상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 헤드 RTI, 표시온도 및 색상 스프링클러는 소방에서 가장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자동소화설비이다. 스프링클러로 정말 엄청난 피해를 불러올 화재 피해도 막을 수 있다. 그만큼 스프링클러를 통한 초기대응이 정말 중요하다. 참고로 스프링클러는 Sprinkler이다. 필자도 처음에 spring cooler인줄 알았다.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는 걸 처음 봤는데, 생각보다 큰 소리로 터져서 놀랐다. 스프링클러 헤드 RTI 펌프를 통해 가압된 소화수가 배관을 거쳐 방호구역(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방사한다. 폐쇄형 헤드는 유리관 혹은 작은 철제로 된 감열체(퓨지블링크 퓨즈(fuse) 전기설비에서 쓰는 퓨즈와 역할이 똑같다. 과열되면 스스로 터진다)가 있다. 위 영상에서.. 2023. 8.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