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격증/소방설비기사(기계)35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CBT 변경 - 이제 기출문제 공개 없다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CBT 변경 - 이제 기출문제 공개 없다 소방에서 기사 자격증은 무엇이 있을까? 소방기사? 아니다. 소방설비기사이다. 소방설비기사는 기계, 전기분야로 나뉜다. 그래서 자격증도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와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가 별개로 있다. 소방감리로써 일하려면 전기, 기계 모두 취득해야 한다. 필자도 최근에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에 접수했다. 근데 고사장별로 접수인원이 너무 적었다. 원래 한 학교당 몇백명 정도 되는데 많아야 스무명 정도만 고사장당 접수가 가능했다. 뭔가 이상해서 찾아보니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는 PBT가 아닌 CBT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CBT 방식으로 바뀌면서 고사장 마감이 매우 빨리 되는 것 같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컴퓨터가 설치된 고사장을 확보하는 게 .. 2023. 8. 9.
화재의 진행 단계 - 성장기, 최성기, 감퇴기 화재의 진행 단계 - 성장기, 최성기, 감퇴기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화재사고는 우리 주변에서 심심치않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화재는 사람의 목숨을 빼았을 수 있는 무서운 것이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 또 조심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재의 진행단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화재의 진행단계 - 성장기, 최성기, 감퇴기 화재진행 단계는 간단하게 위 그림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크게 3단계로 나뉩니다. 성장기, 최성기, 감퇴기 성장기 - 발화원에서 불이 붙어 불이 점점 커가는 단계 Growth Stage 화재는 우리가 생각치 못한 곳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신용으로 붙여놓은 촛불이 내 집을 집어삼킬 화재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성장기에서는 특정 발화원(열원)에 의해 가연물에.. 2023. 4. 21.
2020년 1, 2회 통합 가스기사 기출 핵심정리 - 1번,2번,3번,4번,5번 가스유체역학 1. 압축성 유체가 그림과 같이 확산기를 통해 흐를 때 속도와 압력은 어떻게 되는가? (단, Ma는 마하수이다.) 1) 속도증가, 압력감소 2) 속도감소, 압력증가 3) 속도감소, 압력불변 4) 속도불변, 압력증가 더보기 답: 1 마하수가 주어졌을 때 노즐에서 속도, 압력, 온도, 밀도의 변화를 묻는 문제는 아래 표만 알면 쉽게 풀 수 있다. 아음속(Ma1) 축소노즐 확대노즐 축소노즐 확대노즐 속도 증가 감소 감소 증가 압력 감소 증가 증가 감소 온도 감소 증가 증가 감소 밀도 감소 증가 증가 감소 전부 다 외울생각하면 머리 아프다. 속도만 외우자. 아음속에서 축소노즐이면 속도는 증가한다. 나머지 압력,온도,밀도는 반대로 쓰면 된다. 아음속 - 확대노즐에서 속도는 그 반대다. 초음속 축소노즐.. 2021. 9. 13.
연속방정식 연속방정식 Continuity Equation 정상류 상태 의 비압축성 유체의 흐름에 질량 보존의 법칙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식 쉽게 말해서 유체에서 적용되는 질량보존의 법칙이다. 1번 지점에서의 질량유량을 $\dot{m}_1$ [$kg/s$] 2번 지점에서의 질량유량을 $\dot{m}_2$ 라한다면 질량보존의 법칙에 의해 동일한 시간동안 1번 및 2번 지점을 흐른 유체의 질량은 같아야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dot{m}_1 = \dot{m}_2$ ------(1) 질량을 유체의 밀도를 이용해 표현해 보자. 밀도 = 질량/부피 여기서는 흐르는 유체이므로 밀도 = 질량유량/부피유량이라고 할 수 있다. 부피유량은 일반적으로 $Q_i(i =1, 2)$[$m^3/s$]라고 한다. $\rho = \frac{.. 2021. 9. 11.
2021년 2회 소방설비기사(기계) 기출문제 해설 - 66번,67번,68번,69번,70번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6.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포소화설비의 배관 등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또는 포헤드설비의 가지 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방식으로 한다. 2) 송액관은 겸용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포소화전의 기동장치의 조작과 동시에 다른 설비의 용도에 사용하는 배관의 송수를 차단할 수 있거나, 포소화설비의 성능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전용으로 할 수 있다. 3) 송액관은 포의 방출 종료 후 배관안의 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적당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하고 그 낮은 부분에 배액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경우의 주배관은 구경 65 mm 이상, 방수구로 연결되는 배관의 구경은 100 mm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더보기 답.. 2021. 9. 8.
2021년 2회 소방설비기사(기계) 기출문제 해설 - 61번,62번,63번,64번,65번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헤드의 설치기준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헤드 하나의 방호면적은 (a) $m^2$이상 (b) $m^2$이하로 할 것 1) a: 2.4, b: 3.7 2) a: 3.7, b: 9.1 3) a: 6.0, b: 9.3 4) a: 9.1, b: 13.7 더보기 답: 3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B) 제10조(헤드)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의 헤드는 다음 각 호에 적합하여야 한다. 1. 헤드 하나의 방호면적은 6.0㎡ 이상 9.3㎡ 이하로 할 것 2. 가지배관의 헤드 사이의 거리는 천장의 높이가 9.1m 미만인 경우에는 2.4m 이상 3.7m 이하로, 9.1m 이상 13.7m 이하인 경.. 2021. 9. 7.
2021년 2회 소방설비기사(기계) 기출문제 해설 - 56번,57번,58번,59번,60번 56. 소방기본법령에 따른 특수가연물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품명 수량 나무껍질 및 대팻밥 (a) kg 이상 면화류 (b) kg 이상 1) (a) 200 (b) 400 2) (a) 200 (b) 1000 3) (a) 400 (b) 200 4) (a) 400 (b) 1000 더보기 답: 3 특수가연물(소방기본법 시행령 제6조) 품명 수량 면화류 200kg이상 나무껍질 및 대팻밥 400kg이상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1,000kg이상 사류(絲類) 1,000kg이상 볓짚류 1,000kg이상 가연성고체류 3,000kg이상 석탄, 목탄류 10,000kg이상 가연성액체류 ikkujun.com 5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특별조사위원회의 위원에 해당하지 아니하.. 2021. 9. 6.
2021년 2회 소방설비기사(기계) 기출문제 해설 - 51번,52번,53번,54번,55번 5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이 변경되어 그 기준이 강화되는 경우 기존 특정 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중 강화된 기준을 설치장소와 관계없이 항상 적용하여야 하는 것은? (단, 건축물의 신축·개축·재축·이전 및 대수선중인 특정소방대상물을 포함한다.) 1) 제연설비 2) 비상경보설비 3) 옥내소화전설비 4)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더보기 답: 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 -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제9조제1항 전단에 따른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이 변경되어 그 기준이 강화되는 경우 기존의 특정소방대상물(건축물의 신축ㆍ개축ㆍ재축ㆍ이전 및 대수선 중인 특정소방대상물을 포함한다)의 소방시설에 대하여는 변경 전.. 2021. 9. 2.
2021년 2회 소방설비기사(기계) 기출문제 해설 - 46번,47번,48번,49번,50번 4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제품 또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스누설경보기 2) 소방호스 3) 스프링클러헤드 4) 분말자동소화장치 더보기 답: 1 소방시설은 크게 5가지로 나뉜다. 1. 소화설비 2. 경보설비 3. 피난구조설비 4. 소화용수설비 5. 소화활동설비 가스누설경보기는 2. 경보설비에 해당하므로 소화설비가 아니다. 47. 소방기본법령상 출동한 소방대원에게 폭행 또는 협박을 행사하여 화재진압 인명구조 또는 구급활동을 방해한 사람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 2021. 9.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