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뢰방식의 종류, 피뢰설비 설치기준, 피뢰설비 설치방법
피뢰방식의 종류, 피뢰설비 설치기준, 피뢰설비 설치방법
1. 피뢰방식의 종류
1) 돌침방식
- 금속돌침으로 뇌격을 방전
- 근래에도 가장 많이 사용 (설치용이, 저렴함)
2) 수평도체 방식
- 정의: 건축물의 수뢰부에 수평으로 도체를 설치하는 방법
- 적용: 낮은 소규모 건물등에 가능. 고층건물이나 옥상면이 넓은 장소에는 부적합
3) Mesh 방식
- 정의: 건축물의 수뢰부에 그물망 또는 케이지형태로 피뢰설비 설치
- 특징: 고층건축물로 넓은 옥상면이 있는 경우 가장 많이 사용
4) 케이지 방식
- 정의: 건축물 외부 전체에 Mesh 도체를 설치
- 적용: 커튼월구조, 고층 건축물
5) 선행방전피뢰침
- 정의: 돌침에 수동적인 낙뢰방전을 능동적으로 반응
- 특징: 평상시 동작하지 않다가 낙뢰시 공중으로 돌침부에서 전하를 발생시켜 뇌격을 흡수
2. 피뢰설비 설치기준
1) 대상
- 낙뢰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
- 높이 20m 이상의 건축물 또는 높이 20m 이상의 공작물
2) 설치기준
-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레벨 등급에 적합
- 돌침: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25cm 이상 돌출
- 인하도선을 대신하여 철골구조물, 철근구조체 등을 사용시 전기적 연속성 보장(전기저항 0.2Ω 이하)
- 측면수뢰부
건축물 높이 60m 초과 | 건축물 높이 150m 초과 |
높이 4/5 지점부터 최상단부 측면 | 높이 120m 이상 부분 설치 |
- 접지는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거나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음
- 통합접지 공사시 SPD 설치 (설비보호)
3. 피뢰설비 설치방법
1) 보호레벨 선정: 건축물의 높이, 상부구조, 낙뢰 빈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
2) 수뢰부 계획
- 보호각법: 돌침의 보호각으로 보호되지 않는 부분에 수뢰부를 추가 설치
- 회전구체법: 가상의 회전구체가 닿는 부분에 수뢰부를 추가 설치
3) 피뢰시스템레벨에 따른 보호법
피뢰시스템의 레벨 | 회전구체 반경(m) | 메시치수(m) |
Ⅰ | 20 | 5 x 5 |
Ⅱ | 30 | 10 x 10 |
Ⅲ | 45 | 15 x 15 |
Ⅳ | 60 | 20 x 20 |
- 회전구체 반경, 메시치수가 클수록 낙뢰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을 뜻한다.
문제후기
소방에서 피뢰설비를 왜 알아야 할까? 대부분의 소방설비는 전기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단독 회로로 구성이 되어 있고, 고가수조는 전기가 없어도 작동하지만 99%의 소방설비는 전기가 필요하다. 만약 낙뢰로 인해 소방설비가 손상이 되고, 낙뢰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다면 화재 진압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소방인이라면 피뢰설비에 대해서는 필히 알고 있어야 하며 건축물에 적합한 피뢰설비를 설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