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기술사 답안지 연습12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문제.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용승강기와 비상용승강기의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구분 피낭용 승가기 비상용 승강기 대상 고층 건축물 높이 31m 이상인 건축물 제외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을 거실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 - 높이 31m를 넘는 전체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500㎡이하 -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 이하로 바닥면적 2000㎡마다 방화구획시 2.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수 산정기준 구분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산정기준 승용승강기 중 1대 이.. 2023. 9. 16.
[소방기술사] 피난시간 계산 - 피난계산 필요성, 절차, 평가방법, 대상층 선정방법 [소방기술사] 피난시간 계산 - 피난계산 필요성, 절차, 평가방법, 대상층 선정방법 문제. 피난시간 계산의 필요성과 절차, 평가방법 그리고 대상층 선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25점) 1. 피난계산의 필요성, 절차, 평가방법 1) 피난계산의 필요성 - 설계자의 피난동선 고려 - 합리적인 피난동선 설계 - 초기단계 검토(계획변경 대비) 2) 피난계산 절차 피난계산 대상층 선정 거실피난시간 복도피난시간 층 피난시간 각 층마다 대상인 수 선정 발화실의 모든 인원이 거실 밖으로 나가기까지 시간 최초 피난자가 복도에 들어오고 나서 최후 피난자가 복도에서 나가기까지 시간 화재발생 시각으로부터 최후 피난자가 복도를 빠져나가기 까지의 시간 3) 피난계산 평가방법 - 거실 피난시간, 복도 피난시간, 층 피난시간 모두 .. 2023. 9. 13.
[소방기술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대상 물질, 작성항목 [소방기술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대상 물질, 작성항목 문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대상 물질과 작성항목을 설명하시오. 1. MSDS 작성대상 물질 1) 물리적 위험물질 인화성가스 인화성 액체 인화성 고체 산화성 가스 산화성 액체 산화성 고체 폭발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자기반응성 물질 자연발화성 액체 자기발열성 물질 자연발화성 고체 고압가스 물반응성물질 금수성물질 에어로졸 2) 건강유해물질 급성 독성물질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물질 심한 눈 손상 또는 눈 자극성 물질 호흡기 과민성 또는 피부과민성 물질 발암성 물질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생식독성 물질 흡인 유해성 물질 3) 환경유해성 물질 - 수생환경유해물질 - 오존층 유해성 물질 2. MSDS 작성항목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물리화학적.. 2023. 9. 11.
[소방기술사] 성능위주설계대상, 건축심의 전 제출도서, 건축허가 동의 전 제출도서 [소방기술사] 성능위주설계대상, 건축심의 전 제출도서, 건축허가 동의 전 제출도서 이번 130회 소방기술사 시험에서 성능위주설계에 대한 문제가 5개나 출제되었다. 그만큼 성능위주설계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고 해석해야 할까? 아니면 지엽적인 문제를 내서 난이도를 높이려는 거였을까? 그 속내는 모르겠으나, 소방기술사를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어떤 말이라도 써야 한다. 1. 성능위주소방설계 대상 1) 연면적 20만㎡ 이상 특정소방대상물 2) 50층 이상(지하층 제외) 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0m이상인 아파트 3) 30층 이상(지하층 포함)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m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아파트 제외) 4) 연면적 3만㎡ 이상인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 공항시설 5) 창고시설 - 연면적 10만㎡이상 -.. 2023. 6. 3.
[소방기술사] 전압강하식 유도 및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3상 3선식 비교 [소방기술사] 전압강하식 유도 및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3상 3선식 비교 문제: 간이 전압강하식 $e=\frac{35.6\cdot L\cdot I}{1000A}$을 유도하고,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3상 3선식을 비교하시오. 1. 전압강하식 유도 1) 단상 2선식 전압강하식: $e=\frac{35.6\cdot L\cdot I}{1000A}$ 2) 전압강하 기본식(옴의 법칙) e = IR = $I\cdot \rho \cdot \frac{L}{A}$ ($\rho$: 비저항) 3) 구리의 고유저항: 1/58$\Omega \cdot mm^2/m$ 4) 표준연동의 고유저항 = 전선 도전율의 97% - $e=I\cdot \frac{1}{58}\cdot \frac{100}{97}\cdot \frac{L}.. 2023. 5. 13.
[소방기술사] 원소주기율표상 1족 원소 K, Na의 소화특성 [소방기술사] 원소주기율표상 1족 원소 K, Na의 소화특성 문제. 원소주기율표상 1족 원소인 K, Na의 소화특성을 설명하시오. (10점) 1. K, Na의 소화특성 1) 화학적 소화효과 (부촉매소화효과) - 칼륨(K)의 연쇄반응 차단효과 $K^+ + OH^-\to KOH$ $KOH + H^+ \to K^+ + H_2O$ $K^+$는 다시 $OH^-$와 작용하여 부촉매로서 활동한다. 칼륨 이온이 라디칼과 반응하고 라디칼들은 물이 되어 라디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 나트륨(Na)의 연쇄반응 차단효과 $Na^+ + OH^-\to NaOH$ $NaOH + H^+ \to Na^+ + H_2O$ $Na^+$는 다시 $OH^-$와 작용하여 부촉매로서 활동한다. 나트륨 이온이 라디칼과 반응하고 라디칼들은.. 2023. 5. 10.
[소방기술사] 연료전지의 종류와 특성, 장단점 [소방기술사] 연료전지의 종류와 특성, 장단점 문제. 연료전지(Fuel Cell)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 및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1. 연료전지의 종류 구분 전해질 동작온도(℃) 용도 용융탄산염형 (MCFC) 탄산염 700 중대형 건물 (0.1~1MW) 고분자전해질형 (PEMFC) 이온교환막 100 가정,산업용 (1~10kW) 고체산화물형 (SOFC) 세라믹 1200 다용도 (0.001~1MW) 직접메탄올형 (DMFC) 이온교환막 100 소형 1kW 인산형 (PAFC) 인산염 250 중형 200kW 알칼리형 (AFC) 알칼리 120 우주발사체 전원 2. 연료전지의 특성, 장단점 1) 용융탄산염 특성 장점 단점 2세대 연료전지 열효율, 환경친화성 높음 모듈화 특성 설치공간 작음 촉매로 니켈 사용가능(경제성 .. 2023. 4. 24.
[소방기술사] 열전현상 - 제백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 [소방기술사] 열전현상 - 제백 효과, 펠티에 효과, 톰슨 효과 문제. 열전현상의 대표적인 제백효과, 펠티에효과, 톰슨효과에 대해 서술하시오. 1. 제백효과 1) 정의: 서로다른 금속으로 폐회로를 구성시 각 접점의 온도차이에 의해 전류(열기전력)가 발생하는 현상 2) 원리 - 접점 온도차이 발생 - 온도 차이 > 전위 차이 > 전류 발생 (열기전력) 3) 활용 - 미세한 온도 차이 측정시 사용 (감도가 높다) - 발전기로의 활용도 가능하다 2. 펠티에 효과 1) 정의: 열전대(Thermocoulpe)에 전류를 흘렸을 때, 열전대의 각 접점에서 발열 혹은 흡열 작용이 일어나는 현상 2) 적용 - 항온조, 냉동기 3. 톰슨효과 1) 정의: 동일 금속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 전류의 방향에 따라 금속의 발열 혹.. 2023. 4. 24.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 제5류 위험물 관련 문제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 제5류 위험물 관련 문제 문제.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제5류 위험물에 대하여 다음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1) 성질, 품명, 지정수량, 위험등급 2) 저장 및 취급방법 3) 위험물 혼재기준 4) 히드록실아민 1000kg을 취급하는 제조소의 안전거리 산정 1. 제5류 위험물의 성질, 품명, 지정수량, 위험등급 1) 성질 - 자기반응성 물질(자체 산소 함유) - 연소시 연소속도가 매우 빨라 폭발성이 강함 - 가열, 마찰, 충격시 폭발 위험 2) 품명, 위험등급, 지정수량 품명 지정수량 위험등급 유기과산화물 10kg Ⅰ 질산에스테르 히드록실아민 100kg Ⅱ 히드록실아민염류 히드라진유도체 200kg 니트로화합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디아조화합물 2. 제5류 위험물 저.. 2023. 4.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