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가스계소화약제7

가스계소화약제 종류, 물질명, 화학식 가스계소화약제 종류, 물질명, 화학식1. 가스계소화약제 종류구분불활성가스할로겐화합물정의자연계에 존재하는 가스로 구성된 소화약제탄소를 기본 골격으로 할로겐 원소 및 수소로 구성된 약제효과질식 + 일부 냉각냉각 + 일부 부촉매 2. 소화약제 물질명, 화학식소화약제물질명화학식FK-5-1-12dodecafluoro-2-methylpentanoneC6OF12FC 3-1-10per fluoro butaneC4F10HCFC BLEND AHCFC 종 혼합-HCFC-124Chloro tetrafluoro ethaneC2HF4ClHFC-125penta fluoro ethaneC2HF5HFC-23Tri Fluoro methaneCHF3HFC-227eaHepta fluoro propaneC3HF7HFC-236faHexa fl.. 2024. 7. 15.
[소방 가스계] 왜 무유출 약제량이 자유유출보다 많을까? [소방 가스계] 왜 무유출 약제량이 자유유출보다 많을까? 1. 가스계 약제량 산정 이론 가스계 약제량 산정 이론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1) 완전치환: 방호구역에 가스약제가 방출되면 방출된 가스약제 만큼 공기가 누출된다. 2) 자유유출: 방호구역에 가스약제가 방출되면 가스 및 공기가 혼합되어 누출된다. 3) 무유출: 방호구역에 가스약제가 방출되면 아무것도 누출되지 않는다. 완전치환은 이론적인 경우로, 말 그대로 가스약제가 들어온 만큼 공기가 누출되는 모델입니다. 현실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완전치환에서 약제량이 가장 적습니다. 이제 중요한건 자유유출과 무유출의 약제량 관계입니다. 저는 처음 든 생각이 '무유출이 당연히 적지 않겠어? 약제가 방호구역에 들어오는 족족 축적되니까' .. 2024. 3. 15.
[소방기술사]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방사시간 제한 이유, 결정요인 설명 [소방기술사]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방사시간 제한 이유, 결정요인 설명 1. 방사시간 개념 - 20℃에서 최소 설계농도 달서 위해 설계농도의 95%가 되는 약제량을 방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2. 방사시간 기준 구분 시간 할로겐화합물 계열 10초 불활성가스 B급 - 60초 이내, A,C급 - 120초 이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표면화재 - 1분 이내 심부화재 - 7분 이내 (2분이내 30% 농도 도달) 3. 방사시간 제한이유 할로겐화합물 계열 불활성가스 소화약제의 열분해 생성물을 줄이기 위해 배관 내에서 액상과 기상의 균일한 흐름에 필요한 유속 확보 노즐을 통하여 방사되는 약제의 유량을 크게 하여 방호구역 내의 공기와 확실한 혼합으로 설계농도 확보 화재에 의한 직간접 피해 최소 빠르게 성장하는 화재에서 직간접.. 2024. 3. 13.
가스계소화약제 비체적 공식 - 아보가드로 법칙, 샤를의 법칙 가스계소화약제 비체적 공식 - 아보가드로 법칙, 샤를의 법칙 가스계소화약제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닐까 싶다. 결국 소방기술사에서 가스계소화약제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약제용기가 저장실에 몇 병이 들어가느냐이다. 그걸 알기 위해서는 방호구역에 어느정도의 가스계약제가 방사되어야 하는지, 가스계약제를 저장할 용기가 몇 개가 필요한지를 구해야 한다. 비체적이라는 단어를 우리가 자주 접하지 않아서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다.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가스계소화약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약제이다. 잔여물이 남지 않아 화재 진화후에도 뒷처리가 깔끔하다.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C급 화 ikkujun.com 비체적, 샤를의 법칙 비체적: 단위 질.. 2024. 1. 11.
[소방기술사] HFC, HCFC 청정소화약제(Clean Agent) 화학식 암기법 - 숫자 90을 더해라 [소방기술사] HFC, HCFC 청정소화약제(Clean Agent) 화학식 암기법 - 숫자 90을 더해라 가스계소화설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약제가 바로 청정소화약제다. 청정소화약제는 크게 할로겐화합물 계열과 불활성가스계열로 나뉜다. 청정소화약제는 위 표에 열거된 약제들이 주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HCFC, HFC 약제들이 있다. 일일이 화학식을 외우지 말고 정해진 규칙이 있으니 규칙에 맞추면 화학식을 외우지 않아도 알 수 있다. 기술사 시험에 가끔 출제되기도 하고 어차피 청정소화약제 문제가 나오면 약제 명칭과 화학식 정도는 쓸 줄 아는 게 좋다.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가스계소화약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약제이다. 잔여물이 남지 않아 화재 진화.. 2023. 7. 13.
[소방기술사]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 [소방기술사]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 가스계소화약제에서 중요한 것은 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소화하고 재발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농도 이상, 일정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를 Soaking Time이라고 한다. Soaking Time, 즉 재발화 방지 시간동안은 약제의 농도가 설계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실제로는 소염농도만 되어도 소화가 될 수 있지만, 최악의 상황을 고려해 소화농도의 1.3배인 설계농도까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설계농도 설계농도: 소화농도의 1.3배에 해당하는 농도 화재안전기준에 의하면 가스계약제 방출시 방호구역의 농도는 설계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약제를 충분히.. 2023. 7. 4.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가스계소화약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약제이다. 잔여물이 남지 않아 화재 진화후에도 뒷처리가 깔끔하다.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C급 화재)에도 적응성이 있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우선 가격이 비싸다. 그리고 한번에 약제 방사가 되지 않으면 화재 진압이 거의 불가해진다. 스프링클러를 작동해야 한다. 그럼에도 동파 및 수손피해가 없고, 전기화재에 대한 적응성과 전기기기에 사용해도 전기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청정소화약제 조건 청정소화약제는 단어 그대로 인간과 환경에 무해한 소화약제를 뜻한다. 청정소화약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 1) 환경영향성 오존층파괴지수 ODP가 낮을 것 지구온난화지수 GWP가 .. 2023. 2.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