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설계농도2

[소방기술사]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방사시간 제한 이유, 결정요인 설명 [소방기술사]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방사시간 제한 이유, 결정요인 설명 1. 방사시간 개념 - 20℃에서 최소 설계농도 달서 위해 설계농도의 95%가 되는 약제량을 방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2. 방사시간 기준 구분 시간 할로겐화합물 계열 10초 불활성가스 B급 - 60초 이내, A,C급 - 120초 이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표면화재 - 1분 이내 심부화재 - 7분 이내 (2분이내 30% 농도 도달) 3. 방사시간 제한이유 할로겐화합물 계열 불활성가스 소화약제의 열분해 생성물을 줄이기 위해 배관 내에서 액상과 기상의 균일한 흐름에 필요한 유속 확보 노즐을 통하여 방사되는 약제의 유량을 크게 하여 방호구역 내의 공기와 확실한 혼합으로 설계농도 확보 화재에 의한 직간접 피해 최소 빠르게 성장하는 화재에서 직간접.. 2024. 3. 13.
[소방기술사]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 [소방기술사]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 가스계소화약제에서 중요한 것은 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소화하고 재발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농도 이상, 일정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를 Soaking Time이라고 한다. Soaking Time, 즉 재발화 방지 시간동안은 약제의 농도가 설계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실제로는 소염농도만 되어도 소화가 될 수 있지만, 최악의 상황을 고려해 소화농도의 1.3배인 설계농도까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설계농도 설계농도: 소화농도의 1.3배에 해당하는 농도 화재안전기준에 의하면 가스계약제 방출시 방호구역의 농도는 설계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약제를 충분히.. 2023. 7.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