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설치기준2

[소방기술사] 창고의 정의, 특성, 화재위험, 화재안전기준 [소방기술사] 창고의 정의, 특성, 화재위험, 화재안전기준 1. 창고의 정의 구분 내용 창고시설 창고, 하역장, 물류터미널, 집배송시설 랙식창고 물품보관용 랙을 설치하는 창고시설 적층식 랙 선반을 다층식으로 겹쳐 쌓는 랙 2. 물류창고의 특성 1) 연소형태 및 화재하중: 가연물을 직접 보관, 연소 쉬움, 랙식창고는 연소가 빠르고 격렬, 표면적 넓고 공기량 많음 2) 화재확대: 방화구획 어려움 - 물품의 단순저장과 더불어 포장, 가공 등 작업 병행 - 컨베이어, 지게차 등에 의한 물품이송으로 구획 어려움 3) 물품의 저장 및 관리: 위험물 혼재 보관, Pallet, 플라스틱 사용, 발화원과 저장물품 이격 필요 4) 화재원인 - 용접용단 등 불꽃, 전열기, 포장작업의 전기히터 - 공조설비, 전기시설 등 열원.. 2024. 3. 18.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문제.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용승강기와 비상용승강기의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구분 피낭용 승가기 비상용 승강기 대상 고층 건축물 높이 31m 이상인 건축물 제외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을 거실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 - 높이 31m를 넘는 전체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500㎡이하 -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 이하로 바닥면적 2000㎡마다 방화구획시 2.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수 산정기준 구분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산정기준 승용승강기 중 1대 이.. 2023. 9.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