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화5

불활성가스, 할로겐화합물 - 방사시간의 정의, 기준, 제한 불활성가스, 할로겐화합물 - 방사시간의 정의, 기준, 제한1. 방사시간의 정의 1) 분사헤드에서 설계농도 95%까지 농도 도달하는 시간 2) 제외: 저장용기 개방 ~ 약제가 헤드 도달하는 시간  2. 방사시간 기준할로겐화합물불활성기체할론이산화탄소10초B급화재: 1분A, C급 화재: 2분10초심부화재: 7분표면화재: 1분이산화탄소 심부화재: 2분내 설계농도 30% 도달  3. 방사시간 제한 이유구분내용할로겐화합물1. 열분해 생성물 최소화 - HF, HBR 등은 심장발작의 원인 - 단시간내 약제 방사하여 열과 약제의 접촉 최소화2. 일정유속 확보 - 2상(phase)계 흐름: 액상 + 기상 - 유속 미확보시 마찰손실 증가로 액상 방출 실패3. 신속한 소화 - 가능한 빠르게 설계농도에 도달하여 소화되도록 함불.. 2024. 9. 2.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 : 정의, 설치제외장소, 화합물의 양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 : 정의, 설치제외장소, 화합물의 양1.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 정의 1)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 설계밀도 이상의 고체에어로졸을 방호구역 전체에 균일하게 방출하는 설비 2) 고체에어로졸화합물: 과산화물질, 가연성물질 등의 혼합물로서 화재를 소화하는 비전도성의 미세입자 화합물 3) 고체에어로졸: 고체에어로졸 화합물의 연소과정에 의해 생성된 직경 10㎛이하의 고체입자와 기체 상태 물질 혼합물 4) 고체에어로졸 발생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 (화합물, 냉각장치, 방출구, 저장용기) 2. 설치제외장소 1) 니트로셀룰로스, 화약(TNT) 등의 산화성 물질 2)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티타늄, 지르코늄, 우라늄 등 자기반응성 금속 3) 금속 수소화물 (LiH, CaH2) 4) 유기과.. 2024. 7. 25.
소방에서 수동(passive), 능동(active) 시스템이란? 소방에서 수동(passive), 능동(active) 시스템이란? 1. 불을 끄는 것만이 소방이 아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해야하는 건 2가지다. 피난과 소화다. 화재가 발생한 건물 안에 있는 재실자는 지상층 혹은 피난층 등 화재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피난). 그리고 화재가 성장하여 건축물의 다른 부분까지 확산되지 않도록 소화를 해야 한다. 이때, 소화의 방법은 2가지로 나뉜다. 수동시스템, 능동시스템이다. 2. passive (수동) system 정의: 부분화(partition)를 통해 화재를 한정하면서 화재의 가혹도 또는 화재하중을 낮추는 방법 예시 방화구획(내화구조 포함): 내화구조의 벽, 바닥과 방화댐퍼, 방화문 등을 통해 화재확산을 최소화 배연창(건축법):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일부러.. 2024. 2. 26.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역사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역사 스프링클러는 소방에서 가장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소화설비입니다. 스프링클러로 정말 많은 인명을 살렸고 많은 재산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스프링클러는 많은 화재로부터 사람을 지켜줄 것입니다. 지금의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가 개발되기 위해서 정말 많은 화재와 시행착오가 있어 왔습니다. 저는 처음에 sprinkler가 아닌 spring cooler인 줄 알았습니다. 봄에 날씨가 더워지니 시원하라고 트는 물건인가? 싶었습니다. 하지만 소방 공부를 하면서 sprinkler라고 제대로 알게 되었고, 소방에서 정말 중요한 설비라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1. 스프링클러의 시초는 영국 귀족 - 재산보호에서 인명보호로 1) 영국 귀족.. 2023. 11. 22.
[소방기술사]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 [소방기술사]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 가스계소화약제에서 중요한 것은 약제를 방사하여 화재를 소화하고 재발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농도 이상, 일정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를 Soaking Time이라고 한다. Soaking Time, 즉 재발화 방지 시간동안은 약제의 농도가 설계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실제로는 소염농도만 되어도 소화가 될 수 있지만, 최악의 상황을 고려해 소화농도의 1.3배인 설계농도까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계농도, 소화농도, 피크농도, 소염농도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자 한다. 설계농도 설계농도: 소화농도의 1.3배에 해당하는 농도 화재안전기준에 의하면 가스계약제 방출시 방호구역의 농도는 설계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약제를 충분히.. 2023. 7.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