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지하층2

무창층, 피난층, 지하층 무창층, 피난층, 지하층화재시 인명피해에 가장 큰 원인은 연기다. 화열의 뜨거움으로 사망사고가 일어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연기에 중독, 질식되어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부천 모텔, 방학동 아파트 등에서도 연기 흡입에 의해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그만큼 연기를 제어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무창층, 지하층의 경우에는 연기 배출이 구조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지하층, 무창층의 경우 연기배출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소방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1. 무창층 1) 개념 : 지상층 중 무창층의 조건을 모두 갖추고, 개구부 면적이 바닥면적의 1/30인 층 2) 조건  - 개구부 크기: 50cm 원 내접  - 해당 층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하단의 높이 1.2m 이내  - 개구부는 도로 또는 차량 진.. 2024. 9. 12.
[소방기술사] 비상탈출구와 비상구 비교 [소방기술사] 비상탈출구와 비상구 비교 구분 비상탈출구 비상구 법령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다특법) 대상 거실의 바닥면적 50㎡ 이상 다중이용업소 설치위치 출입구로부터 3m 이상 떨어진 곳 1) 영업장의 주된 출입구의 반대방향 2) 주 출입구의 수평거리가 가로 세로 대각선의 1/2 이상 구조 1) 피난층, 지상층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 2)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 0.75m 1) 구획된 실 또는 천장으로 통하는 구조가 아닐 것 2) 다른 영업장 또는 다른 용도의 시설을 경유하는 구조 아닐 것 3) 층별 영업장은 다른 영업장 또는 다른 용도의 시설과 불연재료 .. 2024. 3.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