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170
1. 개요
1) 선박은 공간이 제한적이고 연료, 화물 등 다량의 가연물을 적재하고 있어 화재시 화재확산이 매우 빠르고 특히 운항 중 화재는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
2) 따라서 선박화재 특성을 파악하여 화재예방 대책을 마련하고 적절한 소화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화재시는 선원들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수적임
2. 선박의 종류
용도에 따른 분류 | 추진방식에 따른 분류 | 재질에 따른 분류 |
여객선 화물선 기타 |
디젤엔진, 증기터빈, 가스터빈 등 | 대형산선, 군함: 강철 고속정: 알루미늄 어선, 요트, 소형선 : FRP, 목재 |
3. 선박화재의 특성
1) 재료에 따른 특성
강철선박 | FRP 선박 | 목재선박 |
- 철의 열전도에 의해 미연소 가연물이 발화온도에 도달하면서 화재가 확산될 수 있음 - 온도상승에 다른 선체 변형 및 붕괴 위험성이 큼 |
- 플라스틱 성분에 의해 쉽게 연소하며 강한 화염 및 다량의 유독가스 발생 -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 우려 큼 |
- 연소속도가 매우 빠르며 소형 선박은 전소되면서 침몰되는 경우가 많음 - 목재가 수분을 머금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불완전연소시 다량의 연기 발생 |
2) 발화장소에 따른 특성
구분 | 내용 |
기관실 | 연료탱크, 윤활유 등 가연물이 밀집된 공간으로 선박 내에서 가장 위험한 공간 엔진 및 발전기 등은 장시간 운전시 고온부를 형성하며 발화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 전기적 원인에 의한 화재 폭발 위험이 큼 |
화물창 | 선적된 화물 종류에 따라 화재특성이 달라짐 가연성 액체, 위험 화학물질, 가스류 등은 폭발로 이어질 수 있음 일반 화물의 경우 포장재나 적재방식에 다라 화재확산 양상이 달라짐 |
객실, 선실 | 객실은 가구, 침구류 등 가연물이 많고 공기의 유동이 자유로워 화재시 열기와 연기가 빠르게 확산되어 승객들에게 치명적 영향을 미침 선원이 주거하는 선실은 전기 및 가스기기 등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화재위험성이 상시 존재함 |
식당 | 전열기 가스레인지 등의 열원이 사용되며 식용유 등 가연물이 많은 공간 소형 선박과 어선은 좁은 공간에서 취사 행위가 이뤄지며 화원과 가연물의 안전거리 확보가 어려움 |
3) 발화원 유형에 따른 특성
전기적 요인 | 기계 화학적 요인 | 인적 요인 |
선박화재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전선 노후화로 인한 절연불량, 과부하, 합선, 누전 등으로 화재 발생 소형 선박의 경우 배터리 단자풀림, 전선의 금속 고정구 눌림이 원인이 되기도 함 |
기계적 요인 엔진과열, 마찰열, 베어링 손상 등에 의한 화재 발생 화학적 요인 위험화물의 누출 및 반응으로 인한 자연발화 및 폭발 |
부주의한 흡연, 용접, 연마 작업시 발생한 불티 등에 의한 화재 선박 관계자의 원한이나 보험사기를 위한 고의적인 방화 |
4. 대책
1) 예방
- 선박 내장재의 불연화
- 화재위험성이 높은 장소는 방화구획 조성
- 정기적인 안전 점검 (점화원 관리)
- 소방관서 및 해경의 통합 훈련 시행
- 선원과 승객들의 안전한 피난을 위한 명확한 메뉴얼과 훈련 시스템 구축
2) 소방
기관실 | 화물창 | 객실, 선실 | 식당 |
포, 이산화탄소, 미분무소화설비 중 하나 이상 설치 화재 위험이 높은 부분은 국소방출방식의 미분무소화설비를 이중으로 설치 선박 추진방식이 다양해짐에 다라 해당 연료에 맞는 가스누설감지센서, 화재진압시스템 등의 기술개발 및 적용 |
화물별 화재특성에 맞는 소화설비 설치 해수를 이용한 소화전 설치 및 소화호스의 적절한 배치 |
미분무소화설비 설치 휴대용 소화기의 적절한 배치 선박 규모를 고려한 피난기구 확보 |
대형선의 경우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설치 k급 소화기 비치 |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자격증 >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안전 개선 종합대책 중 시험에 나올만한 것 (1) | 2025.05.16 |
---|---|
고조파(harmonics) (0) | 2025.05.16 |
신축, 증축, 개축, 재축, 이전, 대수선 (0) | 2025.05.13 |
수용성액체 판단기준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0) | 2025.04.01 |
화재안전조사, 화재예방안전진단 차이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