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뺑소니 포상금 제도 최대 100만원까지 뺑소니 포상금 제도 최대 100만원까지 뺑소니 사고는 근절되어야 할 사회악이자 범죄이다. 뺑소니 때문에 선량한 사람들만 피해를 보고있다. 이런 뺑소니 사고를 유발한 가해자를 명백히 처벌할 수 있게 도움을 준 사람에게는 국가에서 포상금이 지급된다. 그만큼 뺑소니는 국민들의 도움이 있다면 현장에서 바로 검거가 가능하다. 한블리라는 프로그램에서 뺑소니범을 검거하도록 도와준 신고자가 포상금을 받았다고 한다. 뺑소니 포상금 제도는 처음들어보았다. 이런 좋은 제도를 통해 억울한 사고를 당하는 사람을 줄이고 가해자는 엄격히 처벌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뺑소니란? 뺑소니: 교통사고(인명피해) 후 도주하는 것, 운전자가 교통 사고를 낸 후 피해자에 대해 적절한 조치 없이 도주하는 것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인명피해가 발.. 2023. 7. 22.
1gal(갤런)은 몇 L(리터)?, 1L(리터)는 몇 gal(갤런)? 1gal(갤런)은 몇 L(리터)?, 1L(리터)는 몇 gal(갤런)? 우리가 부피를 잴 때 사용하는 단위는 L, ㎤, ㎥정도이다. 자동차 연비를 계산할 때도 km/L로 1L의 연료로 얼마나 이동할 수있는지를 나타낸다. 하지만 영국, 미국에서는 L를 사용하지 않는다. gal(갤런)이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영국, 미국은 자기들만의 단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주 골치가 아프다. SI단위로 통일해서 사용하면 편한데, 파운드, 인치, 갤런 등 자기들만의 단위를 사용해서 여간 복잡한 게 아니다. 그래도 어쩔 수 없다. 영국, 미국이 강국이기 때문에 힘이 약한 우리들은 뭐라고 해도 듣지 않는다. 그러니 갤런 단위로 알아야 한다. 1gal = 3.785L, 1L = 0.264gal 갤런이라는 단위는 양동이를 뜻하는 라틴.. 2023. 7. 21.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안전거리, 보유공지 기준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안전거리, 보유공지 기준 위험물 안전거리, 보유공지는 기능사부터 기술사까지 출제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그만큼 위험물 시설은 화재 및 폭발로 주변 건축물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일정거리 이상 떨어뜨려야 한다. 그래야 피해가 더 확산되지 않는다. 위험물과 관련된 내용은 외울게 정말 많다. 그래도 어려운 건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외우기만 하면 시험에서 잘 써먹을 수 있는 개념이다. 안전거리와 보유공지는 헷갈리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번기회에 확실히 내 지식으로 만들기를 바란다. 안전거리, 보유공지 정의 안전거리: 위험물제조소 등 위험물을 취급 저장하는 제조소의 가장 외벽에 있는 담벽으로부터 다른 건축물 외벽까지의 거리 보유공지: 위험물조소 등 위험물을 취급, 저장하는 장소의 외벽으.. 2023. 7. 20.
[소방기술사] 자동화재탐지설비 NFPA class 회로별 성능 - 단선, 지락, 단락 고장표시, 고장 중 경보능력 [소방기술사] 자동화재탐지설비 NFPA class 회로별 성능 - 단선, 지락, 단락 고장표시, 고장 중 경보능력 소방에서 중요한 건 불을 끄는 것도 있지만, 최성기 화재로 성장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제일 합리적인 방법이다. 불은 한번나면 수백, 수억원의 재산피해와 소중한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인명피해를 불러오기 때문에 가급적 화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이 자동화재탐지설비이다. 단선, 지락, 단락 NFPA Class 별 회로 성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선, 지락, 단락을 먼저 알아야 한다. 단선, 지락, 단락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을 했으니 아래 링크를 참고 바란다. [소방기술사] 단락, 단선, 지락 뜻 [소방기술사] 단락, 단선, 지락 뜻 안녕하세요. .. 2023. 7. 19.
[부동산] 무순위청약은 청약통장이 필요한가? [부동산] 무순위청약은 청약통장이 필요한가? 일명 줍줍이라 불리는 무순위청약은 전국민이 청약할 수 있는 기회다. 작년 초에 무순위 청약을 했던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과 더불어 이번에 흑석자이는 엄청난 경쟁률을 기록했다. 최근 서울 흑석동 무순위 청약의 경쟁률이 83만 대 1이었던 사실 알고계셨나요? 14억짜리가 6억에 청약이 나왔으니 1세대짜리 물건에 83만명이 몰리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전매도 가능하니 당첨되고 바로 팔면 6억을 손에 쥐게 되는 것이죠. 근데 제 주변 사람들은 어차피 다주택자는 못해, 청약통장도 없어서 못한다 이렇게 말하는 데 과연 진짜일까요? 정답은 청약공고문만 봐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무순위청약은 청약통장이 필요없다 무순위청약 조건: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 2023. 7. 17.
덕소역 코레일 민원 결과 승강장내 승하차처리 단말기 설치 - 감사합니다 덕소역 코레일 민원 결과 승강장내 승하차처리 단말기 설치 - 감사합니다 덕소역 승하차 처리 단말기 (용문행 방면) 덕소역 승하차 처리 단말기 (문산행 방면) 저는 경의중앙선 덕소역을 이용해 출퇴근을 하고 있습니다. 덕소역은 KTX, 무궁화호,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는 역입니다. 더불어 지하철도 정차하는 역입니다. 하지만 승강장에 바로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는 단말기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게이트쪽으로 올라가서 단말기에 카드를 찍고 내려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덕소역 승강장에 승하차 처리 단말기를 설치해주어서 게이트까지 올라가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었습니다. 사실 게이트에 카드 찍으러 올라갔다가 지하철이 출발한 경우가 종종 있어서 시간을 낭비한 적이 있었습니다. 코레일 민원을 넣었더니.. 2023. 7. 17.
[소방기술사] NFPA 472 위험물 분류 - 위험물안전관리법 비교 [소방기술사] NFPA 472 위험물 분류 - 위험물안전관리법 비교 우리나라의 위험물을 대표하는 법으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이 있습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시행령, 규칙도 있습니다. 국내에서 위험물은 총 6종류로 분류됩니다. 산화성 고체, 가연성 고체,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인화성 액체, 자기반응성 물질, 산화성 액체입니다. 가스, 특수가연물 등도 위험한 물질이지만 정확히는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위험물은 액체, 고체에 한합니다. 미국의 소방관련 법인 NFPA는 위험물을 훨씬 더 다양하게 분류합니다. 기술사 시험에 NFPA와 위험물안전관리법 위험물을 비교하라는 문제가 충분히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외워두는 게 좋습니다. 어렵지는 않지만 외울게 많다는 것 뿐입니다. NFPA 472 위험물.. 2023. 7. 16.
[소방기술사] GHS 분류기준 -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GHS 분류기준 -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는 화학물질 분류표시 국제조화시스템으로, 쉽게 말해 전세계적으로 통일한 물질 분류 체계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험물을 구분하는 기준이 NFPA와 다릅니다. 하지만 GHS는 만국공통입니다. 국제적으로 통일을 했기 때문에 어디서든 GHS를 쓸 수 있고 어느 나라를 가도 어떤 물질인지, 어떤 위험성을 가졌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소방기술사에는 이런 위험물 관련 내용도 많이 출제됩니다. 그리고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을 갖는 화학물질에는 위 그림과 같은 경고 표지가 붙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위험한 물질이라는 걸 한눈.. 2023. 7.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