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감지기4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1. 개념  송광부와 수광부에서 적외선을 주고 받는 광축상에 연기가 유입시 수광량의 감소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 2. 구성신호발생기(발광부) ------------------------------(광축)--------------------------------(수광부)대역증폭기-검파기-증폭기-비교기-경보기1) 송광부: 수광부로 적외선 방출2) 수광부: 광선의 신호감도를 모니터링3) 제어부: 광선의 신호감도가 화재삼황에 부합하는지 검사4) 수신기: 화재신호를 받아 경보 발생5) 시험기: 감지기의 작동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장치. (바닥에서 1.5m ) 3. 메커니즘송광부에서 수광부로 광원 송출↓연기유입↓수광부의 수광량 감소↓전기적 변화감지↓.. 2024. 6. 8.
[소방기술사] 불꽃감지기 - UV감지기, IR감지기 [소방기술사] 불꽃감지기 - UV감지기, IR감지기 불꽃감지기는 감지기 중에서 성능이 좋은 감지기로, 천장(반자) 높이가 20m 이상인 곳에서 아날로그 방식인 불꽃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도 비싸다. 가정에 설치를 권장하는 단독형감지기와 가격을 비교해보면 어떤 감지기인지 대충 감이 올 것이다. 불꽃감지기는 화염 불꽃에서 발산되는 적외선(IR, InfraRed), 자외선(UV, UltraViolet)을 각각 검출하거나 동시에 검출하는 감지기를 뜻한다. UV감지기 원리: 광전효과(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광전자를 방출하여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대표적으로 태양광 발전이 있음)에 의해 UV의 수광량이 증가하면 이 변화량을 감지하여 화재경보를 보낸다. 동작방법 1. 화재시 불꽃에서의 자외선.. 2023. 11. 24.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를 공부하다보면 소방관련 법규가 정말 많다는 걸 알게된다. 근데 소방법 이외에도 건축법은 기본이고 기계, 안전 등과 관련된 여러 법규를 알아야 한다. 그 많은 법규 중에서도 중요한 설치제외 기준이 있다. 소방에서 가장 중요한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설치제외 기준이다. 물론 다른 소방설비도 중요하다. 제연, 가스계, 물분무, 소화기, 포소화, 분말 등 중요하지 않은 소화설비는 없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주로 쓰이는 소방설비가 감지기, 스프링클러이며 화재확산을 막는데, 방화구획 만한 게 없다. 그래서 이 3가지의 설치제외 기준은 알아두는 게 좋다. 감지기 설치제외 기준 1) 부식성 가스가 .. 2023. 8. 19.
[소방기술사] 축적형 감지기 원리, 설치장소, 사용불가 상황 [소방기술사]축정형 감지기 원리, 설치장소, 사용불가 상황 감지기에는 크게 축적형과 비축적형이 있다. 비축적형은 화재신호(화재가 발생하여 생성된 열이나 연기를 감지)가 들어오면 곧바로 화재경보를 수신기로 보내 지구경종을 울린다(건축물 전체 경종을 울려 재실자를 피난시킴). 축적형은 화재신호가 1차적으로 들어오면 주경종을 울리고 우선 기다린다. 신호를 축적하는 것이다. 그러고 축적시간(보통 10초, 5 ~ 60초)이내에 화재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화재경보가 울리지 않고 수신기에만 표시가 된다. 이런 축적형 감지기를 설치하는 이유는 비화재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비화재보: 화재가 아닌데 화재경보를 울리는 것) 축적형 감지기 원리 기본 연기감지기 혹은 열감지기에 축적형 기능이 들어가 있느냐에 따라 축적형 감.. 2023. 3.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