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축법5

소방법과 건축법의 불협화음 (discord) 소방법과 건축법의 불협화음 (discord)1. 소방법과 건축법은 같이간다 필자는 현재 소방기술사 공부를 하고 있다. 공부할 게 정말 많다. 소방이라는 것만 알면 되나 싶었더니 건축에 대해서도 많이 알아야 한다. 그 이유가 소방시설이 건축물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건물이 없으면 소방도 필요 없다. 건물은 좁은 면적에서 큰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만들어졌다. 사람도 많고 다양한 물건도 많다. 그래서 화재의 위험성이 크다. 화재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시설이 필요하다. 2. 불협화음 예시 : 하향식 피난구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건축법의 취지: 하향식 피난구 있으면 수직피난이 가능하니까 대피공간 굳이 필요없잖아?  소방법의 취지: 대피공간에서 버티는 건 한계가 있다. 그래서 대피공간에서 수직 피난이 가능한.. 2024. 9. 8.
[소방, 건축] 직통계단 [소방, 건축] 직통계단1. 직통계단 개념 1) 막힘없는 대피를 위한 통로 2) 실내의 다른 부분인 복도 및 거실 등을 거치지 않고 피난할 수 있는 계단 2. 직통계단 요건 1) 직통의 구조 2)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연결 3) 거실로부터 원칙적으로 30m 이내의 보행거리에 위치 4) 연면적 400㎡초과시 '계단의 설치기준' 따를 것 3. 설치기준 1) 각 직통계단 간에는 각각 서실과 연결된 복도 등 통로 설치 2) 2개소 이상의 직통계단설치  - 건축물 평면 최대 대각선 거리의 1/2 이상  - S/P 설비 등 설치시 대각선 거리의 1/3 이상 4. 직통계단의 설치 1) 보행거리원칙16층이상공동주택에서 16층 이상 층주요구조부 내화구조, 불연재료공장30m40m50m유인 75m무인 100m  2) 직통계.. 2024. 9. 7.
화재확산방지구조 및 재료 화재확산방지구조 및 재료1. 화재확산방지구조 개념 1) 수직 화재확산 방지를 위하여 외벽마감재 사이에 매층마다 최소 400mm이상 특정 재료를 밀실하게 채운 것 2)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구조로 불연, 준불연재료 규정 대체 목적 2. 화재확산방지구조 설치대상 1) 상업지역의 건축물  - 근린생활시설, 위락, 문화집회, 판매 등 바닥면적 합계 2000㎡이상  - 공장용도건축물에서 6m 이내 위치한 건축물 2)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용도 3) 3층 이상 또는 높이 9m이상 건축물 4)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처리, 저장시설 용도로 쓰는 건축물 5) 완화: 5층 이하, 높이 22m 미만시 두개층마다 설치  3. 재료 1) 방화석고보드 12.5mm 이상 2) 평형시멘트판 6mm이상 .. 2024. 8. 18.
[소방] 옥상광장 - 경사지붕 대피공간, 헬리포트, 인명구조공간 [소방기술사] 옥상광장 - 경사지붕 대피공간, 헬리포트, 인명구조공간 1.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재실자(건축물 내부에 있는 사람 모두를 지칭함)는 가장 먼저 안전한 장소도 대피, 피난해야한다. 화재에서 발생하는 열, 연기 등으로부터 위해를 받지 않기 위해 위험범위에서 벗어나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1층으로 피난하는 것이다. 하지만 화재 상황에 따라 1층으로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계단실로 대피해야 하는데 계단실 하부 혹은 중간에서 가연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경우 1층으로 내려갈 수가 없다. 이럴때는 외기와 접하는 옥상쪽으로 대피해야 한다. 이를 옥상광장이라고 한다. 일종의 fail-safe 개념으로, 1층으로 피난할 수 없는 경우 옥상광장으로 대피하여 .. 2024. 2. 19.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를 공부하다보면 소방관련 법규가 정말 많다는 걸 알게된다. 근데 소방법 이외에도 건축법은 기본이고 기계, 안전 등과 관련된 여러 법규를 알아야 한다. 그 많은 법규 중에서도 중요한 설치제외 기준이 있다. 소방에서 가장 중요한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설치제외 기준이다. 물론 다른 소방설비도 중요하다. 제연, 가스계, 물분무, 소화기, 포소화, 분말 등 중요하지 않은 소화설비는 없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주로 쓰이는 소방설비가 감지기, 스프링클러이며 화재확산을 막는데, 방화구획 만한 게 없다. 그래서 이 3가지의 설치제외 기준은 알아두는 게 좋다. 감지기 설치제외 기준 1) 부식성 가스가 .. 2023. 8.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