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방화구획2

[소방기술사] 방화구획 적정성 확보 [소방기술사] 방화구획 적정성 확보1. 개념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화염과 연기를 구조적으로 원천차단하여 재실자의 피난안전 환경 마련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 최소화 2. 방화구획 적정성 확보 1) 방구획도 제출: 내화구조의 벽, 방화문, 방화셔터 색으로 구분, 별도의 범례표 작성, 방화구획 적정성 쉽게 확인 2) 건축물의 주요 설비 공간 및 공용시설물은 다른 부분과 구획 3) 판매시설 등 대형공간에 방화셔터 설치시 3m이내에 피난층 방향으로 피난이 가능한 고정식 방화문 설치 4) 사용형태별 용도 감안하여 1,2단 설치 5) 방화셔터 상부 천장 내부와 Access Floor 내부는 구획성능이 확보되도록 설계도 첨부 6) 기동용 화재감지기는 설치 높이에 따른 적응성 고려 7) 방화셔터 하부 바닥에는 셔터 하강지.. 2024. 7. 7.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를 공부하다보면 소방관련 법규가 정말 많다는 걸 알게된다. 근데 소방법 이외에도 건축법은 기본이고 기계, 안전 등과 관련된 여러 법규를 알아야 한다. 그 많은 법규 중에서도 중요한 설치제외 기준이 있다. 소방에서 가장 중요한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설치제외 기준이다. 물론 다른 소방설비도 중요하다. 제연, 가스계, 물분무, 소화기, 포소화, 분말 등 중요하지 않은 소화설비는 없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주로 쓰이는 소방설비가 감지기, 스프링클러이며 화재확산을 막는데, 방화구획 만한 게 없다. 그래서 이 3가지의 설치제외 기준은 알아두는 게 좋다. 감지기 설치제외 기준 1) 부식성 가스가 .. 2023. 8.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