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비상용 승강기3

[소방기술사] 비상용승강기가 가져야 할 안전장치 [소방기술사] 비상용승강기가 가져야 할 안전장치 1. 비상용 승강기 개념 1) 화재시 신속한 화재층 진입 위한 승강기 2) 소방대, 구조대 사용, 빠른 구조, 진압 목적 (피난용 승강기와 반대) 2. 안전장치 종류 구분 내용 1. 비상정치장치 조속기 미동작시 Car 하부의 Clamp와 Guide Rail 사이에 쐐기 밀어 강제 정지 2. 과속도 검출기 Car의 과속검출로 조속기 동작전 급정지 3. 감시 타이머 마이크로 컴퓨터의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Car를 정지시킴 4. Door 안전장치 Door Switch: Door 사이 사람 끼임 검출 Door Interlock: Hall Door, Car Door 상태 일치 5. 최종 Limit Switch 최종층 지나친 경우 작동하여 전원차단 및 전자 브레이크 작.. 2024. 4. 3.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문제.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용승강기와 비상용승강기의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구분 피낭용 승가기 비상용 승강기 대상 고층 건축물 높이 31m 이상인 건축물 제외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을 거실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 - 높이 31m를 넘는 전체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500㎡이하 -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 이하로 바닥면적 2000㎡마다 방화구획시 2.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수 산정기준 구분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산정기준 승용승강기 중 1대 이.. 2023. 9. 16.
[소방기술사] 비상용 승강기 대수를 정하는 기준, 비상용 승강기 설치예외 조건 [소방기술사] 비상용 승강기 대수를 정하는 기준, 비상용 승강기 설치예외 조건 1. 비상용승강기 대수를 정하는 기준 1) 대상: 31m를 초과하는 건축물 2) 수량 - 31m를 초과하는 각 층 중 면적이 가장 큰 곳의 면적 1500㎡ 이하 1500㎡ 초과 1대 A: 31m를 초과하는 각 층 중 면적이 가장 큰 곳의 면적 2. 비상용승강기를 설치예외 조건 1)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을 거실 이외의 용도로 사용 2) 높이 31m를 넘는 전체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500㎡ 이하 3)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 당해 각 층의 바닥면적 200㎡ 이내마다 방화구획 설정시 (실내마감재가 불연재료인 경우 500㎡ 이내) 비상용 승강기는 소방기술사 시험에 단골로 출제된다. 특히 피난용 승강기와 함께 비.. 2023. 6.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