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기감지기3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1. 개념 송광부와 수광부에서 적외선을 주고 받는 광축상에 연기가 유입시 수광량의 감소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 2. 구성신호발생기(발광부) ------------------------------(광축)--------------------------------(수광부)대역증폭기-검파기-증폭기-비교기-경보기1) 송광부: 수광부로 적외선 방출2) 수광부: 광선의 신호감도를 모니터링3) 제어부: 광선의 신호감도가 화재삼황에 부합하는지 검사4) 수신기: 화재신호를 받아 경보 발생5) 시험기: 감지기의 작동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장치. (바닥에서 1.5m ) 3. 메커니즘송광부에서 수광부로 광원 송출↓연기유입↓수광부의 수광량 감소↓전기적 변화감지↓.. 2024. 6. 8.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1. 개념 송광부와 수광부에서 적외선을 주고받는 광축상에 연기가 유입시 수광량의 감소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 2. 구성 1) 송광부: 수광부로 적외선 방출 2) 수광부: 광선의 신호감도를 모니터링 3) 제어부: 광선의 신호감도가 화재상호아에 부합하는지 검사 4) 수신기: 화재신호 발신 5) 시험기: 감지기의 작동상태 시험할 수 있는 장치. 바닥에서 1.5m 3. 메커니즘 1) 송광부에서 수광부로 광원 송출 2) 연기 유입 3) 수광부의 수광량 감소 4) 전기적 변화감지 5) 화재신호 발신 4. 특징 1) 연기입자의 크기, 색상에 따른 감도의 영향 적음 2) 비가시성, 엷은 색 연기에 감도저하 우려 3) 발광부와 수광부 간 공칭감시거리 최.. 2024. 4. 22. [소방기술사] 공기 흡입형 감지기(ASD) - Air Sampling Detector [소방기술사] 공기 흡입형 감지기(ASD) - Air Sampling Detector 공기흡입형 감지기는 연기감지기의 일종으로, 연기를 능동적으로 흡입하여 연기의 초미립자 성분을 검출해 화재신호를 발하는 감지기이다. 여타 연기 감지기들과 다르게 능동적으로 항상 공기를 흡입하며 연기 미립자를 검출한다. 초미립자 성분을 검출하는데 특화되어 있어 매우 감도가 높은 감지기이다. 감도도 높지만 감도 신뢰성도 높은 감지기라 높은 감도 신뢰성이 필요한 대상물 및 건축물에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VESDA라는 업체가 거의 독점하다시피 공기 흡입형 감지기를 생산한다. 공기 흡입형 감지기의 구조 1. Air Sampling Pipe 2mm 내외의 구멍이 설치된 Pipe로 Pipe의 총길이는 50 ~200m 정도이다. 각 5.. 2023. 3.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