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할로겐화합물4 [소방기술사]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방사시간 제한 이유, 결정요인 설명 [소방기술사]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 방사시간 제한 이유, 결정요인 설명 1. 방사시간 개념 - 20℃에서 최소 설계농도 달서 위해 설계농도의 95%가 되는 약제량을 방출하는데 걸리는 시간 2. 방사시간 기준 구분 시간 할로겐화합물 계열 10초 불활성가스 B급 - 60초 이내, A,C급 - 120초 이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표면화재 - 1분 이내 심부화재 - 7분 이내 (2분이내 30% 농도 도달) 3. 방사시간 제한이유 할로겐화합물 계열 불활성가스 소화약제의 열분해 생성물을 줄이기 위해 배관 내에서 액상과 기상의 균일한 흐름에 필요한 유속 확보 노즐을 통하여 방사되는 약제의 유량을 크게 하여 방호구역 내의 공기와 확실한 혼합으로 설계농도 확보 화재에 의한 직간접 피해 최소 빠르게 성장하는 화재에서 직간접.. 2024. 3. 13. 가스계소화약제 비체적 공식 - 아보가드로 법칙, 샤를의 법칙 가스계소화약제 비체적 공식 - 아보가드로 법칙, 샤를의 법칙 가스계소화약제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닐까 싶다. 결국 소방기술사에서 가스계소화약제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약제용기가 저장실에 몇 병이 들어가느냐이다. 그걸 알기 위해서는 방호구역에 어느정도의 가스계약제가 방사되어야 하는지, 가스계약제를 저장할 용기가 몇 개가 필요한지를 구해야 한다. 비체적이라는 단어를 우리가 자주 접하지 않아서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다.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가스계소화약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약제이다. 잔여물이 남지 않아 화재 진화후에도 뒷처리가 깔끔하다.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C급 화 ikkujun.com 비체적, 샤를의 법칙 비체적: 단위 질.. 2024. 1. 11.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가스계소화약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약제이다. 잔여물이 남지 않아 화재 진화후에도 뒷처리가 깔끔하다.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C급 화재)에도 적응성이 있다. 하지만 단점도 있다. 우선 가격이 비싸다. 그리고 한번에 약제 방사가 되지 않으면 화재 진압이 거의 불가해진다. 스프링클러를 작동해야 한다. 그럼에도 동파 및 수손피해가 없고, 전기화재에 대한 적응성과 전기기기에 사용해도 전기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청정소화약제 조건 청정소화약제는 단어 그대로 인간과 환경에 무해한 소화약제를 뜻한다. 청정소화약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 1) 환경영향성 오존층파괴지수 ODP가 낮을 것 지구온난화지수 GWP가 .. 2023. 2. 11.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소방기술사 120회 1교시 5번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소방기술사 120회 1교시 5번 Q.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소화성능이 인정되는 경우 예외이기는 하나 이 내용은 무시한다.) 개요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제3류 위험물 - 특징 및 이유 제5류 위험물 - 특징 및 이유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제3류 위험물인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이다. 제3류 위험물은 물과 닿으면 격렬한 반응을 일으키면서 엄청난 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 2022. 9. 2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