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화재안전성능기준3

[소방기술사]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 (NFPC 501A) [소방기술사]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 (NFPC 501A) 1. 계단실, 부속실 제연설비 개념 1) 제연구역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제연구역을 가압시켜 연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 2) 급기량 = 보충량 + 누설량 2. 계단실, 부속실 제연설비 설치기준 구분 내용 제연구역 계단실 및 부속실 동시제연 부속실 단독제연, 계단실 단독제연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단독 제연 차압 제연구역과 옥내 사이 차압 40Pa (스프링클러 설치시 12.5Pa) 개방력: 제연설비 가동시 출입문 개방에 필요 110N이하 출입문 일시적 개방시 차압: 70%이상 계단실 부속실 동시 제연시 부속실 압력 + 5Pa ≤ 계단실 압력 방연풍속 계단실 및 부속실 동시제연 또는 계단실 단독 - 0.5m/s 단독제연 - 부.. 2024. 4. 6.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8) 제정 - 신규 소방관련 법안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8) 제정 - 신규 소방관련 법안 1. 제정이유 공동주택 화재와 그로 인한 사상자가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행 화재안전기준에 부분적으로 산재해 있는 공동주택과 관련된 규정을 통합하여 공동주택의 구조, 거주 특성 및 화재시 피난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안전성능기준을 제정하려는 것임 * 공동주택 주거비율 62.3% * 최근 5년간 2만 4천여건의 공동주택 화재로 2,410명 인명피해 (사망 308명, 부상 2,102명) 발생 2. 주요내용 가. 기존 화재안전기준에서 공동주택 관련 기준을 발췌하여 통합기준으로 규정 나. 승강장, 복도 등 공용부 소화기 추가 설치 및 열원의 종류(전기, 가스)에 따라 적응성 있는 주방용 자동소화정치 설치 다. 거주자 및 관.. 2023. 11. 12.
화재안전기준(NFSC) 이원화 - 화재안전성능기준, 화재안전기술기준 화재안전기준(NFSC) 이원화 - 화재안전성능기준, 화재안전기술기준 (2022.12.01 적용)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소방기술사 공부를 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법규입니다. 소방기술사를 비롯한 소방 관련 자격증은 화재안전기준을 토대로 공부를 해야합니다. 하지만 이런 법규는 법 개정을 거쳐 바뀌곤 합니다. 이번에는 꽤 크게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화재안전기준이 두 개로 나뉘었습니다. 화재안전기준이 나뉜 이유 화재안전기준은 행정규칙입니다. 쉽게 말해 '법'입니다. '법'은 국회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하지만 신기술, 신제품은 하루가 멀다하고 출시됩니다. 보통 신기술, 신제품에는 새로운 성능이 도입되기 때문에 이 기준에 맞춘 법 개정이 필수적입니다. 화재안전기준은 법이.. 2022. 12.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