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맥스웰 관계식

by 아이꾸준기술사 2021. 8. 22.
728x90
반응형
728x170

화공열역학의 어려운 개념 중 하나인 맥스웰 관계식을 알아보자.

 

 

맥스웰 관계식(Maxwell relations)


열역학 변수(엔탈피, 깁스에너지, 내부에너지 등)의 이차도함수가 미분 순서에 관계없이 같다는 것을 나타내는 관계식. (단, 보존장의 경우 성립)

 

우리가 푸는 대다수의 문제는 보존장임을 가정하므로 조건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F=f(x,y)$ 라는 함수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함수를 전미분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F = \left ( \frac{\partial F}{\partial x} \right )_{y}dx + \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_{x}dy$ ------(1)

 

$\left ( \frac{\partial F}{\partial x} \right )_{y}$ : 함수 F를 x에 대해 편미분한 값

$\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_{x}$ : 함수 F를 y에 대해 편미분한 값

 

$\left ( \frac{\partial F}{\partial x} \right )_{y} = F_{x}$

$\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_{x} = F_{y}$

 

(1) 식을 다시 정리해보면

 

$dF = F_{x}dx + F_{y}dy$ ------(2)

 

여기서부터 집중하고 보자. 

 

$F_x$를 $y$에 대해 편미분하고 

$F_y$를 $x$에 대해 편미분하자. ($F$가 아닌 $F_x, F_y$라는 걸 유심히 보자.)

 

$F_{x}$를 $y$에 대해 편미분한 값을 $F_{xy}$

$F_{y}$를 $x$에 대해 편미분한 값을 $F_{yx}$라 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_{xy}$ = $\left ( \frac{\partial F_{x}}{\partial y} \right )_{x} $

$F_{yx}$ = $\left ( \frac{\partial F_{y}}{\partial x} \right )_{y} $

 

 

즉, $F_{xy} = F_{yx}$ 가 성립하는 걸 말해주는 게 맥스웰 관계식이다. 쉽게 말해서, 미분 순서에 관계없이 $x, y$ 로 각각 미분한 값은 동일하다라는 것이다.

 

<예시>

$dU = TdS - PdV$ 라는 열역학 관계식은 

 

$dF = \left ( \frac{\partial F}{\partial x} \right )_{y}dx + \left ( \frac{\partial F}{\partial y} \right )_{x}dy$ 처럼 U에 대해 전미분한 형태와 똑같다. 

 

그러면 맥스웰 관계식을 적용해볼 수 있다. 

 

T를 V에 대해 편미분하고 

 

-P를 S에 대해 편미분 하면

 

$(\frac{\partial T}{\partial V})_S = -(\frac{\partial P}{\partial S})_V$ 이 성립합니다. 

 

괄호 옆에 붙는 첨자는 일정하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frac{\partial T}{\partial V})_S$: 등엔트로피 과정에서 부피 변화에 대한 온도변화

$(\frac{\partial P}{\partial S})_V$: 등적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에 대한 압력변화

 

어떤 첨자가 붙는지는 복잡하게 생각하실 거 없고, 미분항에 있는 문자를 그대로 내려주면 된다.

 

이렇게 맥스웰 관계식을 H(엔탈피), U(내부에너지), G(깁스 자유에너지), A(헬름홀츠 자유에너지) 4가지 열역학 퍼텐셜에 적용한 것이 아래의 4가지 식 입니다.

 


$\left ( \frac{\partial T}{\partial V} \right )_S = - \left ( \frac{\partial P}{\partial S} \right )_V$

$\left ( \frac{\partial T}{\partial P} \right )_S = \left ( \frac{\partial V}{\partial S} \right )_P$

$-\left ( \frac{\partial S}{\partial P} \right )_T = \left ( \frac{\partial V}{\partial T} \right )_P$

$\left ( \frac{\partial S}{\partial V} \right )_T=\left ( \frac{\partial P}{\partial T} \right )_V$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