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이것저것

유럽과 한국의 전기차 주행거리 차이, 왜? (국내기준 vs WLTP)

by 아이꾸준기술사 2022. 2. 6.
728x90
반응형
728x170

유럽과 한국의 전기차 주행거리 차이, 왜? (국내기준 vs WLTP)

 

전기차 관련 뉴스기사를 보다보면 아래와 같은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유럽에서의 주행거리와 한국에서의 주행거리가 꽤 차이가 납니다. 그 이유가 뭘까요?

 

바로 한국의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방식이 더 복잡하고 엄격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방식이 세계에서 제일 엄격한 편이라고 합니다. 

 

 

# 유럽의 주행거리 인증방식 - WTLP(Worldwide harmonised Light vehicle Test Procedure)


- 도심주행에 초점을 맞춤

- 급가속, 에어컨/히터 사용, 주행 모드 변경 등을 반영하지 않고, 순수 주행 거리로만 측정

- 측정 평균속도는 시속 47㎞, 최고속도는 130㎞로 설정

- 외부 온도(계절에 따른 기온)와 배터리 상태 등에 따른 변수도 포함하지 않음

 

요약하자면, 이상적인 상황에서 주행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유럽방식입니다. 아무래도 주행거리가 높게 나올 수밖에 없죠.

 

 

 

# 한국 환경부의 주행거리 인증방식


- 도심주행과 고속주행을 모두 반영

- 급가속, 에어컨/히터 사용, 주행 모드 변경, 겨울철 저온 운전까지 모두 반영해 측정

- 온도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주행거리 편차가 크다는 것을 반영해 측정한 거리의 70%만 최대주행거리로 인정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인증은 좀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 쪽입니다. 최소한 주행거리만큼은 보장해주는 것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변화무쌍한 한국의 계절과, 면적대비 차량이 많은 한국의 상황을 잘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 정리하며


이제 왜 유럽과 한국의 전기차 주행거리가 차이나는지 아시겠죠?

 

국가별 기후나 도로상황이 다르고, 소비자들의 운전습관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느 나라의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방식이 옳다라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각 나라의 실정에 맞게 주행거리를 인증해주는게 그 나라 국민들을 위한 것이 아닐까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