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약제방사시간, 방사압력)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약제방사시간, 방사압력)1. 표면화재, 심부화재 정의표면화재심부화재가연물 표면에서 가연성 가스와 산소가 혼합되어 불꽃내며 연소가연물 표면이 직접 연소하거나 그 심부에서 작열하는 것재발화 여부에 따라 구분 2. 표면화재, 심부화재의 방사시간, 방사압력구분표면화재심부화재방사시간1분이내 - 최소설계농도 34% - 단시간 방사 → 신속소화 - 산소 고갈상태에서 연소 - 지속시간 길면 불완전연소 (독성가스 발생) - 연소지속시간 최소화 (단시간 방사)7분이내 - 2분 이내 30%도달 - 2분간 소요 약제량 (0.673kg/㎥)방사압력단시간 방사 위해 심부화재보다 큼방호구역내 압력상승률 작음과압배출구 면적 작음저압식: 1.05Mpa고압식: 2.1Mpa동일조건인 경우 1분내 방사량표면화재 = 2.. 2024. 8. 15. 내화구조 관련 설명 내화구조 관련 설명1. 내화구조 정의 건축물의 기둥 및 보, 지지대, 배관, 전선관 등의 구조부가 일정시간 동안 강도와 그 성능유지할 수 있는 구조 2. 내화구조 설치장소 1) 인화성 액체의 증기 및 가스에 의한 폭발장소 2) 분진폭발 위험장소 3. 내화구조 대상 및 범위산업안전기준 보건 규칙내화구조에 관한 기술지침건축물의 기둥 및 보: 지상 1층(최대6m)위험물 저장 취급 용기의 지지대: 지상 ~ 지지대 끝부분배관 전선관의 지지대: 지상 ~ 1단까지 (최대 6m)제외: 건축물 등 주변화재에 대비 물분무 및 foam헤드 설비 등의 자동소화설비 설치시 2시간 이상 안전성 유지가능시석유화학 공장 등 위험물 보유량 많거나 공정압력 높을 경우 9m내화대상 지역 내 모든 건축물다층구조의 건축물이면서 가연성액체 고.. 2024. 8. 14. [소방] 규약배관방식, 수리계산방식 비교 설명 [소방] 규약배관방식, 수리계산방식 비교 설명1. 개요 1) 국내 NFTC 103은 압력에 상관없이 일정유량이 균등하게 방사된다는 가정 하에 헤드의 수에 따라 Table에 의해 배관경을 산정 → 규약배관 2) 미국 NFPA13 : 위험 정도에 따라 위험등급을 구분하고 가장 말단 헤드에서 규정된 방사압력과 유량이 나오도록 배관경 결정 및 Hazen williams 식 통해 계산 → 수리계산 2. 규약배관방식구분25324050658090100125150가23510306080100160161↑나24715306065100160161↑다1258152740559091↑(주)사항1.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1개층, 1개 급수배관 방호면적 3000㎡2. 폐쇄형 헤드 설치시 '가'란의 헤드수에 따를 것3. 폐쇄형 헤드.. 2024. 8. 13.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현상 설명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현상 설명1. 리튬이온배터리의 열폭주현상 1) 정의: 양극, 음극의 단락으로 불과 몇초만에 400℃, 몇분만에 1000℃의 온도로 폭증하는 현상 2) 발생원인 -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분리막 손상 - 과충전에 의한 전해액 분해 2. 리튬배터리 구조와 열폭주 메커니즘 1) 구조$Li_(1-x)CoO_2+Li_xC\Leftrightarrow Li_(1-x+dx)CoO_2+Li_(x-dx)C$ 2) 메커니즘 3. 열폭주 방지대책구분내용예방1) 리튬배터리 관련 회로 강화- 과전류, 과부하 발생시 3전 차단- 열화상 카메라 감시2) 물리적 충격 방지 및 대량보관 금지Active감지: 조기감지시스템 (아날로그 방식)소화: 현재 적정한 소화방법 부재 (대안: 마른모래, 팽창질석, 팽창진.. 2024. 8. 13. [소방] Soaking Time 영향요소 및 방호구역 밀폐시험 [소방] Soaking Time 영향요소 및 방호구역 밀폐시험1. 개요가스계 소화 - 냉각, 질식냉각 - 줄 톰슨 효과 통한 열 흡수질식 - 재발화 방지 - Soaking Time 확보 - Door Fan Test 2. 설계농도 유지시간 영향요소 (Soaking Time)구분Descending InterfaceMixing정의약제비중>1혼합장치 없을시 약제 하강을 고려한 모드설계농도가 방호구역 높이에서 장비높이까지 내려가는 시간약제비중≒1혼합장치로 인해 기류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초기 소화약제의 농도에서 최소설계농도까지 내려가는 시간영향요소방호구역의 높이 및 면적장비의 높이개구부 크기개구부의 위치소화약제와 공기 혼합물 농도방호구역의 높이 및 면적개구부의 크기소화약제의 농도Soaking Time 확보NFPA.. 2024. 8. 11. [건축법] 승용승강기 설치기준 [건축법] 승용승강기 설치기준1. 승강기란?elevator건축물에서 수직이동을 위한 장치이다. 최근에는 고층건축물이 많기 때문에 계단으로 올라가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아주 오래된 건물이 아니라면, 1층짜리 건물이 아니라면 웬만한 건물에는 승강기가 있다. 승강기는 건축물에서 수직 이동을 매우 편리하게 해준다. 승강기는 안전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건축요소이다. 화재가 발생했을때, 계단으로 내려오기에는 너무 먼 거리인 경우 중간에 체력의 한계로 피난이 어려울 수도 있다. 물론 계단실은 급기가압구역이라 연기가 확산될 위험은 적으나 화재가 소화되지 못하고 건축물 전체가 전소되는 상황에서는 위험할 수 있다. 물론 화재상황에서는 승강기를 이용하지 말라고 한다. 그래서 화재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피난용 승.. 2024. 8. 10. 방유제의 설치기준, 방유제 용량 산출방식 방유제의 설치기준, 방유제 용량 산출방식1. 방유제 개념 1) 정의: 옥외탱크 저장 시설의 파손 등으로 위험물 노출시 위험물을 일정한 범위내에 가두기 위한 설비 2) 목적: 유류를 일정 공간에 머물게 하여 화재확산 제한 2. 방유제 설치기준구분내용개념도높이0.5 ~ 3m용량1기: 탱크 용량의 110%2기이상: 최대용량의 110%면적80000㎡이하탱크수10기 이하20기 이하 (인화점 70 ~ 200℃, 전탱크 용량 20만L 이하)주위도로방유제 외면의 1/2이상 차지3m 이상 노면 확보구성철근콘크리트 또는 흙탱크이력탱크 직경 15m 미만: 탱크 높이(H) ×1/3이상탱크 직경 15m 이상: 탱크 높이(H) ×1/2이상간막이둑용량 1000만L 이상 설치높이: 0.3m 이상(용량 2억L 초과시 1m)방유제 높이.. 2024. 8. 9. [소방기술사] 비상콘센트설비 [소방기술사] 비상콘센트설비1. 설치대상 1)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11층 이상의 층 2) 지하층의 층수 3층이상, 지하층의 바닥면적 합계 1천㎡이상 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이상인 것 2. 전원구분내용상용전원저압수전: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고압수전, 특고압수전: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 또는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비상전원대상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이상, 연면적 2000㎡이상 - 지하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3000㎡이상면제 - 2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는 경우 - 하나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의 공급 중단시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설치기준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 2024. 8. 8.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4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