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기술사183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소방기술사]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 문제.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난용승강기와 비상용승강기의 설치대상, 설치대수 산정기준, 승강장 및 승강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상 구분 피낭용 승가기 비상용 승강기 대상 고층 건축물 높이 31m 이상인 건축물 제외 준초고층 건축물 중 공동주택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을 거실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건축물 - 높이 31m를 넘는 전체 층의 바닥면적 합계가 500㎡이하 -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 이하로 바닥면적 2000㎡마다 방화구획시 2.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설치대수 산정기준 구분 피난용 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산정기준 승용승강기 중 1대 이.. 2023. 9. 16.
[소방기술사] 피난시간 계산 - 피난계산 필요성, 절차, 평가방법, 대상층 선정방법 [소방기술사] 피난시간 계산 - 피난계산 필요성, 절차, 평가방법, 대상층 선정방법 문제. 피난시간 계산의 필요성과 절차, 평가방법 그리고 대상층 선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25점) 1. 피난계산의 필요성, 절차, 평가방법 1) 피난계산의 필요성 - 설계자의 피난동선 고려 - 합리적인 피난동선 설계 - 초기단계 검토(계획변경 대비) 2) 피난계산 절차 피난계산 대상층 선정 거실피난시간 복도피난시간 층 피난시간 각 층마다 대상인 수 선정 발화실의 모든 인원이 거실 밖으로 나가기까지 시간 최초 피난자가 복도에 들어오고 나서 최후 피난자가 복도에서 나가기까지 시간 화재발생 시각으로부터 최후 피난자가 복도를 빠져나가기 까지의 시간 3) 피난계산 평가방법 - 거실 피난시간, 복도 피난시간, 층 피난시간 모두 .. 2023. 9. 13.
소방기술사 131회 시험후기 정리 - 푼 문제들과 느낌, 예상점수 소방기술사 131회 시험후기 정리 - 푼 문제들과 느낌, 예상점수2023년 8월 26일 131회 기술사 필기시험 치르신 분들 모두 고생많으셨습니다. 저는 131회 소방기술사를 치르고 왔습니다. 벌써 세번째 시험입니다. 공부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다보니 시험을 보면서 점점 제가 성장하는 게 느껴집니다. 이번 131회 소방기술사 목표 점수는 50점입니다. 보통 소방기술사 필기시험에서 50점을 받으면 합격할 수준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10월 11일에 점수 발표인데, 얼른 10월이 오길 바래봅니다.129회130회131회41.239.5목표 50점이번 포스팅에서는 131회에서 제가 푼 문제들을 정리하고 답안을 어떻게 작성했고 몇점을 받을 수 있을지 예상해보려고 합니다. 실제 점수는 채점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3. 8. 29.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 소방설비 3대 설치 제외기준 -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소방기술사를 공부하다보면 소방관련 법규가 정말 많다는 걸 알게된다. 근데 소방법 이외에도 건축법은 기본이고 기계, 안전 등과 관련된 여러 법규를 알아야 한다. 그 많은 법규 중에서도 중요한 설치제외 기준이 있다. 소방에서 가장 중요한 감지기, 방화구획, 스프링클러 설치제외 기준이다. 물론 다른 소방설비도 중요하다. 제연, 가스계, 물분무, 소화기, 포소화, 분말 등 중요하지 않은 소화설비는 없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인명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주로 쓰이는 소방설비가 감지기, 스프링클러이며 화재확산을 막는데, 방화구획 만한 게 없다. 그래서 이 3가지의 설치제외 기준은 알아두는 게 좋다. 감지기 설치제외 기준 1) 부식성 가스가 .. 2023. 8. 19.
인화점 시험방법 및 측정방법 3가지 (소방기술사 129회 3교시 3번) 인화점 시험방법 및 측정방법 3가지 (소방기술사 129회 3교시 3번) 인화성 액체인 제4류 위험물은 인화점에 따라 구분된다.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한 물질이다. 인화점은 물질마다 다르므로 개별적인 측정을 통해 분류를 해야 한다. 인화점은 정해진 측정 및 시험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맞춰 인화점을 측정해야 한다. 소방기술사 129회 3교시 3번 문제로 출제된 개념이다. 4류 위험물 분류 및 혼재가능 여부는 잘 알고 있었지만, 인화점 시험방법과 측정시험 방법은 몰라서 잘 쓰지 못했다. 제4류 위험물 인화점 정리 위험물의 종류 및 성질 - 제4류 위험물(인화성 액체) 유별 성질 품명 지정수량 제4류 인화성 액체 1. 특수인화물 50L 2. 제1석유류 비수용성액체: 200L 수용성액체: 400L 3. 알코올.. 2023. 7. 26.
[소방기술사] 자동화재탐지설비 NFPA class 회로별 성능 - 단선, 지락, 단락 고장표시, 고장 중 경보능력 [소방기술사] 자동화재탐지설비 NFPA class 회로별 성능 - 단선, 지락, 단락 고장표시, 고장 중 경보능력 소방에서 중요한 건 불을 끄는 것도 있지만, 최성기 화재로 성장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제일 합리적인 방법이다. 불은 한번나면 수백, 수억원의 재산피해와 소중한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인명피해를 불러오기 때문에 가급적 화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이 자동화재탐지설비이다. 단선, 지락, 단락 NFPA Class 별 회로 성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선, 지락, 단락을 먼저 알아야 한다. 단선, 지락, 단락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을 했으니 아래 링크를 참고 바란다. [소방기술사] 단락, 단선, 지락 뜻 [소방기술사] 단락, 단선, 지락 뜻 안녕하세요. .. 2023. 7. 19.
[소방기술사] NFPA 472 위험물 분류 - 위험물안전관리법 비교 [소방기술사] NFPA 472 위험물 분류 - 위험물안전관리법 비교 우리나라의 위험물을 대표하는 법으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이 있습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시행령, 규칙도 있습니다. 국내에서 위험물은 총 6종류로 분류됩니다. 산화성 고체, 가연성 고체,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인화성 액체, 자기반응성 물질, 산화성 액체입니다. 가스, 특수가연물 등도 위험한 물질이지만 정확히는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위험물은 액체, 고체에 한합니다. 미국의 소방관련 법인 NFPA는 위험물을 훨씬 더 다양하게 분류합니다. 기술사 시험에 NFPA와 위험물안전관리법 위험물을 비교하라는 문제가 충분히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외워두는 게 좋습니다. 어렵지는 않지만 외울게 많다는 것 뿐입니다. NFPA 472 위험물.. 2023. 7. 16.
[소방기술사] GHS 분류기준 -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GHS 분류기준 -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는 화학물질 분류표시 국제조화시스템으로, 쉽게 말해 전세계적으로 통일한 물질 분류 체계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험물을 구분하는 기준이 NFPA와 다릅니다. 하지만 GHS는 만국공통입니다. 국제적으로 통일을 했기 때문에 어디서든 GHS를 쓸 수 있고 어느 나라를 가도 어떤 물질인지, 어떤 위험성을 가졌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소방기술사에는 이런 위험물 관련 내용도 많이 출제됩니다. 그리고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을 갖는 화학물질에는 위 그림과 같은 경고 표지가 붙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위험한 물질이라는 걸 한눈.. 2023. 7. 15.
[소방기술사] 소방 실무와 법규의 차이 - 고양시 저유소 화재 (물분무소화설비) [소방기술사] 소방 실무와 법규의 차이 - 고양시 저유소 화재 (물분무소화설비) 2018년 7월에 일어났던 고양 저유소 화재를 기억하는가? 영상을 보면 엄청난 규모의 화염기둥이 솓구치고 있다. 소방차가 저만하니 화염기둥이 얼만한지 짐작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저유소에 있는 저장탱크 자체가 워낙 크기 때문에, 불이 붙으면 탱크에 있는 기름을 이송시키지 않는 이상 탱크 전체가 불이 붙게 된다. 현실적으로 저런 커다란 위험물유류탱크를 소화하는 건 불가능하다. 최소한 화재가 전파되지 않게 막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소방 법규는 실무를 따라가기엔 벅차다 현재는 폐지된 소방기술기준에관한규칙에 위험물저장탱크에 설치해야 하는 물분무설비 수원 기준이 있다. 소방기술기준에관한규칙은 폐지된 법안으로 현재는 화재안전성능기준을 .. 2023. 7.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