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방기술사183 [소방기술사] 기술사 점수 채점 방식 [소방기술사] 기술사 점수 채점 방식 우리가 일반적으로 응시하는 산업기사, 기사 자격증의 합격 커트라인은 60점이다. 기술사도 마찬가지로 60점이다. 하지만 기술사 합격 후기 등을 보면 점수가 되게 높게 나온다. 물론 평균 점수가 나오긴 하지만, 왜 저렇게 큰 점수가 나오는 건지 그 과정을 알 필요가 있다. 그러면 우리가 기술사 답안지를 어떻게 작성해야 더 좋은 점수를 받을지 그 방향성을 잡을 수 있게 된다. 각 교시당 3명의 채점관이 나의 시험지를 채점한다 기사, 산업기사와 다르게 기술사는 1명이 아닌 3명의 채점관이 채점을 한다. 시험의 공정성을 위해 3명의 채점관의 점수를 평균을 내는 것이다. 각 교시당 점수가 나와있다. 1교시는 106점이다. 이 점수는 곱하기 3이 된 점수이므로 나누기 3을 하면.. 2023. 4. 6. [소방기술사] 스터디 메이트 스톱워치, 타이머 - 답안지 작성 시간관리용 필수 [소방기술사] 스터디 메이트 스톱워치, 타이머 - 답안지 작성 시간관리용 필수 여타 시험과 비슷하게 소방기술사 시험도 시간과의 싸움이다. 14페이지에 최소 10페이지 이상을 손글씨로 답안을 채워야 한다. 1교시는 10문제, 2,3,4교시는 4문제로 10페이지 이상을 채워야 한다. 1교시는 1문제당 10분, 2,3,4교시는 1문제당 25분이 주어진다. 문제의 개요와 구성을 생각하는 시간 1~2분을 제외하면 약 23분 정도를 쓸 수 있다. 지난 129회 시험에서 아날로그 시계로 시간을 체크했는데 너무 헷갈렸다. 그래서 스톱워치가 필요해서 하나 장만했다.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41.5점 맞은 후기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41.5점 맞은 후기 2023년 3월 15일 소방기술사 129회 필기시험 점수.. 2023. 3. 24.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41.5점 맞은 후기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41.5점 맞은 후기 2023년 3월 15일 소방기술사 129회 필기시험 점수가 공개되었다. 소방기술사 129회를 소방기술사 첫 시험으로 응시한 나는 당연히 불합격이다. 공부기간도 이제 3개월이 되었고, 이제 소방기술사가 어떤 시험인지 감정도 잡았다. 그래서 첫 시험에서 30점이나 넘으면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41.5점이 나왔다. 나도 확인하고 놀랬다. 소방기술사 41.5점 맞은 느낌 남들 2회차, 3회차때 맞을 점수를 한번에 맞았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정말 실력이 있어서 40점을 넘겼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소방기술사 129회에 처음으로 응시했다. 내가 썼던 문제는 8문제다. 물론 이 8문제도 전부다 아는 게 아니고, 8문제 중에서 절반 정도는 조금만 아는 정도였.. 2023. 3. 15. 소방기술사 3개월차 공부법, 책 소방기술사 3개월차 공부법, 책 2022년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소방기술사 공부를 하고 있다. 그래도 3개월 동안 포기하지 않고 학원에 다니며 소방기술사를 향해 한걸음 한걸음 나아가고 있다. 2024년 3회차 합격을 목표로 오늘 하루도 열심히 보내고 있다. 현재 나의 공부 방향을 점검할 겸, 3개월 동안 어떻게 공부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1. 공부방법 1) 학원강의 수강 및 복습 - 매일 주말마다 학원에 다니고 있다. 직장인이 주말이라는 달콤한 휴식시간을 반납하고 학원에 간다는 것 자체가 엄청 대단한 일이다. (자뻑은 아닙니다) 처음에는 학원 가는 게 과연 맞을까하는 의문이 많이 들었다. 지금은 학원이 없으면 내가 여기까지 버티지 못했을 거라 생각한다. 학원에서 배운 내용을 매일 복습하고 있다. 그래야.. 2023. 2. 22. 소방기술사 볼펜 추천 - 펜텔 에너겔 0.7 소방기술사 볼펜 추천 - 펜텔 에너겔 0.7 소방기술사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답안지를 얼마나 깔끔하게 가독성있게 쓰느냐도 중요하다. 아무리 많이 알고 있어도 채점관이 알아보지 못하게 쓴다면 합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14페이지에 달하는 답안지에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려운 만큼 내가 답안지를 잘 쓰면 남들과의 차별점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소방기술사 합격을 위해서는 공부와 더불어 나에게 맞는 볼펜을 잘 고르는 것도 중요하다. 필자는 현재 제트스트림 SXN-310을 쓰고 있지만 펜텔의 에너겔도 추천한다. 펜텔 에너겔 굵기: 0.7mm 대부분 제트스트림 볼펜을 많이 쓰지만 좀 더 부드럽게 잘 써지는 볼펜을 원한다면 펜텔 에너겔이나 지브라의 사라사를 추천한다.. 2023. 2. 18.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후기, 공부 방향 재설정 소방기술사 129회 첫 시험 후기, 공부 방향 재설정 1) 간략 정보 소방기술사 첫 시험을 치르고 왔다. 수능 다음으로 겪어본 가장 오래보는 시험이었다. 9시에 시험 종 땡 치고, 5시 20분에 끝났다. 물론 중간에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이 있었다. 오로지 시험시간만으로 따지면 400분이다. 총 4교시로 1교시당 100분이다. 각 교시마다 시험지가 주어진다. 답안지는 14페이지 책자형태이다. 기술사는 난생 처음보는 시험이다. 그래서 떨렸지만, 하다보니 떨리기 보다는 힘들었다. 글씨 쓰는 게 생각보다 벅차다. 이렇게 긴 글을 손으로 쓰는 건 어릴 때 반성문 썼던 일 말고는 없기 때문이다. 2) 느낀점 1.총평 첫 시험이지만 아는 문제가 나와서 무척 신이났다. 아직 공부한 내용이 적어서 아는 문제는 전혀 나오.. 2023. 2. 8. [소방기술사] 성능설계를 해야하는 소방대상물 종류 [소방기술사] 성능설계를 해야하는 소방대상물 종류 소방기술사를 공부하다보면 꼭 만나는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성능설계(성능위주설계)이다. 소방기술사가 되어 설계업무를 맏게 된다면, 특히나 대형 건설사 등에서 일하게 된다면 성능설계는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성능설계는 일반 법규설계(CBD)와는 차이가 많다. 성능설계란? Performance Based Design. 말그대로 성능을 위주로 한 설계이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하면 '건축물 등의 재료, 공간, 이용자, 화재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학적 방법으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화재안전성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특정소방대상물을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쉽게 말해서, 법규(규약)대로만 설계하면 소방.. 2023. 1. 30. 화재안전기준(NFSC) 이원화 - 화재안전성능기준, 화재안전기술기준 화재안전기준(NFSC) 이원화 - 화재안전성능기준, 화재안전기술기준 (2022.12.01 적용)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소방기술사 공부를 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법규입니다. 소방기술사를 비롯한 소방 관련 자격증은 화재안전기준을 토대로 공부를 해야합니다. 하지만 이런 법규는 법 개정을 거쳐 바뀌곤 합니다. 이번에는 꽤 크게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화재안전기준이 두 개로 나뉘었습니다. 화재안전기준이 나뉜 이유 화재안전기준은 행정규칙입니다. 쉽게 말해 '법'입니다. '법'은 국회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하지만 신기술, 신제품은 하루가 멀다하고 출시됩니다. 보통 신기술, 신제품에는 새로운 성능이 도입되기 때문에 이 기준에 맞춘 법 개정이 필수적입니다. 화재안전기준은 법이.. 2022. 12. 27. [소방기술사] 드라이펜던트 헤드 스프링클러 간단 정리 [소방기술사] 드라이펜던트 헤드 스프링클러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오늘은 소방기술사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드라이펜던트 헤드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많이들 헷갈려하셔서 이번 기회에 확실히 정리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드라이펜던트 헤드란? Dry Pendent Sprinkler 드라이펜던트: 소화수의 동결을 막기 위해 개발된 스프링클러 헤드 드라이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는 길쭉한 것이 특징입니다. 길쭉한 이유는 바로 소화수의 동결을 막기위함입니다.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헤드는 위 사진처럼 길이가 짧습니다. 스프링클러 소화수 배관을 간략하게 나타낸 그림입니다. 일반 습식 헤드는 가지배관에서 바로 아래로 떨어지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소화활동 후에도 물이 완전히 배수되지 않을 수 있고, 배수.. 2022. 11. 1.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