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압력5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배관의 두께 계산식 할로겐 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배관의 두께 계산식1. 배관 두께의 중요성 1) 배관 두께 미달로 약제방사 중 배관 파손 2) 가스누출, 적정 약제량 방사실패, 방호구역 아닌 피난로 방사로 인명피해 2. 배관 두께 계산식구분내용계산식$t = \frac{PD}{2SE} +A$ ↔ $P = \frac{2SE(t-A)}{D}$구성t: 배관두께 [mm]P: 최대허용압력 [kPa]D: 배관의 바깥지름 [mm]SE: 최대허용응력(인장강도의 1/4과 항복점 2/3 중 작은값 * 배관이음효율 * 안전율)A: 나사이음, 홈이음 등 허용값 3. 배관 압력등급 선정방법구분내용허용응력인장시험표 참조하여 SE 구함두께, 직경배관 기성품 두께, 직경 선정계산배관 두께 계산식 대입비교1) 최대허용압력 2) 최대허용압력 > 최.. 2024. 8. 31. [소방기술사] 절대압, 계기압, 진공압 간단 정리 - 압력계, 연성계, 진공계 [소방기술사] 절대압, 계기압, 진공압 간단 정리 - 압력계, 연성계, 진공계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소방기술사에 합격하려면 압력은 기본 중에 기본으로 알고가야 하는 부분입니다. 오늘은 압력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0. 압력이란? $$P = \frac{F}{A}$$ 압력 = 힘 ÷ 면적(힘이 작용하는 부분) 위 그림처럼 두꺼운 봉과 뾰족한 봉으로 누를 때, 힘을 받는 부분의 압력은 다를까요?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압력은 달라집니다. 뾰족한 봉으로 힘을 가할 때 압력이 더 커집니다. 면적이 작기 때문에 압력이 커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뾰족한 주사바늘은 피부를 뚫고 들어가지만 뭉뚝한 막대기는 피부를 뚫고 들어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압력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절대압 2. .. 2023. 2. 17. 파스칼의 원리 파스칼의 원리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스칼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스칼의 원리 밀폐된 용기에 담긴 비압축성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의 모든 지점에 같은 크기로 ”전달”된다는 원리 위 그림처럼 1번 피스톤 부분에 $F_1$이라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밀폐된 용기 내부는 압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비압축성 유체이기때문에 유체는 압축되지 않고 유체가 받은 압력을 모든 지점에 가하게 됩니다. 밀폐된 용기는 단단하므로 모양이 변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면 압력은 2번 부분 피스톤까지 전달이 됩니다. 이 그림에서 중요한건 1번 부분과 2번 부분의 면적이 다르다는 겁니다. 압력 = 힘 ÷ 면적 입니다. 압력은 모든부분에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면적이 달라지면 힘도 그에 따라 달라져.. 2022. 6. 21. 압력변환 쉽게 하는 법 압력변환 쉽게 하는 법 압력: 단위 면적에 미치는 힘 대표적인 압력단위: Pa 기사시험을 공부할때 압력에 관한 문제가 꽤 많이 나옵니다. 특히 압력변환 문제. 압력변환은 단위변환의 일종으로, 압력단위를 바꿔주는 것을 말한다. 압력에는 단위가 여러가지 있다. 그 중에 대표적인 단위를 써보면 - Pa (MPa, kPa) - atm - psi - bar - torr - $kg_f/cm^2$ - mmHg (cmHg) 압력단위가 많은 이유는 아무래도 압력에 대해 그만큼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해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기압계를 최초로 발명한 토리첼리가 있습니다. 토리첼리의 실험하면 다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기억나시죠? 대기압이 수은의 76cm와 같다고 해서 1atm = 76cmHg 인 겁니.. 2022. 3. 27. 2021년 2회 가스기사 기출문제 해설 - 6번,7번,8번,9번,10번 6. 원관 내 유체의 흐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층류는 레이놀즈수가 약 2100 이하인 흐름이다. 2) 일반적으로 난류는 레이놀즈수가 약 4000 이상인 흐름이다. 3) 일반적으로 관 중심부의 유속은 평균유속보다 빠르다. 4) 일반적으로 최대속도에 대한 평균속도의 비는 난류가 층류보다 작다. 더보기 답: 4 Re(Reynolds Number) = $\frac{D\rho u}{\mu }$ ~2100 : 층류 2100~4000 : 천이영역 4000~ : 난류 일반적인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위와 같이 속도구배가 형성된다. 중심부의 유속이 가장 빠르다. 층류의 경우 속도구배 식은 다음과 같다. $u_r = u_{max}[1-(\frac{r}{R})^2]$ R: 관의 반지름 r: 관의 .. 2021. 8. 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