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선박화재 1. 개요 1) 선박은 공간이 제한적이고 연료, 화물 등 다량의 가연물을 적재하고 있어 화재시 화재확산이 매우 빠르고 특히 운항 중 화재는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 2) 따라서 선박화재 특성을 파악하여 화재예방 대책을 마련하고 적절한 소화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화재시는 선원들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수적임 2. 선박의 종류용도에 따른 분류추진방식에 따른 분류재질에 따른 분류여객선화물선기타디젤엔진, 증기터빈, 가스터빈 등대형산선, 군함: 강철고속정: 알루미늄어선, 요트, 소형선 : FRP, 목재 3. 선박화재의 특성 1) 재료에 따른 특성강철선박FRP 선박목재선박- 철의 열전도에 의해 미연소 가연물이 발화온도에 도달하면서 화재가 확산될 수 있음- 온도상승에 다른 선체 변형 및 붕괴 위험성이.. 2025. 5. 17.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안전 개선 종합대책 중 시험에 나올만한 것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안전 개선 종합대책 중 시험에 나올만한 것소방기술사 시험에는 이슈사항도 종종 출제가 된다. 물론 출제자들이 그것을 이슈라고 여겨야지 나오는 거지 무조건 기사화 되었다고 해서 시험에 나오지는 않는다. 그래도 어느게 시험에 나올지 모르니 준비는 해둬야 한다.이번에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안전 개선 종합대책이 2월에 나왔다. 이 내용도 충분히 시험에 나올 수 있으나 그렇다고 전부를 외우기에는 양이 너무 많다. 그리고 이것만 준비할 수도 없기에 나올만할 걸 예측해서 준비하는 게 좋다. 1. 지하주차장 소화설비 설치대상 확대기존에는 바닥면적 200㎡이상, 차량 주차대수 20대 이상의 주차장만을 대상으로 소화설비를 설치하였으나 모든 지하주차장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2. 지하주차장 습식 스프링클.. 2025. 5. 16.
고조파(harmonics) 고조파(harmonics)1. 개념 1) 기본파의 정수배 주파수를 갖는 파형 2) 일반적으로 50차수까지를 고조파라 하고 그 이상은 고주파 도는 noise로 분류 2. 발생원인 1) 전기로, 아크로 등의 부하 2) 변압기, 전동기 병입 시 여자전류에 의한 고조파 3) 전력변환장치에 의한 고조파 - 대용량 UPS - VVVF 제어방식 등 4) 고압 및 특고압 전선에서의 코로나 현상 5) 전압의 순시동용 등으로 인한 과도현상 3. 문제점 1) 3고조파에 의한 통신선 유도장애, 변압기 중성선 과열 2) 역률저하 > 전원용량 증가 필요 3) 전력손실 증가 4) 보호계전기 오동작 5) 고조파 공진현상에 의한 계통이상 현상 6) 전력용 기계 기구의 과열 또는 고장 7) 전원 파형 왜곡 8) 고조파가 발전기에 미.. 2025. 5. 16.
신축, 증축, 개축, 재축, 이전, 대수선 신축, 증축, 개축, 재축, 이전, 대수선 1. 신축 1) 건축물 없는 대지(기존 건축물 해체 또는 멸실 대지 포함)에 새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 2) 부속건축물만 있는 대지에 새로 주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 포함 (쉽게 말해서 아무것도 없던 땅에 아파트를 짓는 것을 말함) 2. 증축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적, 충수 또는 높이를 늘리는 것 (아파트 리모델링 대표적) (아파트 리모델링은 기존 아파트 건축물을 해체하지 않고 수직, 수평으로 증축하는 것) 3. 개축 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 기둥, 보, 지붕틀 중 셋 이상 포함)를 해체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4. 재축 1) 건축물이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재해.. 2025. 5. 13.
[가스배관] 하천도강배관 방호구조물 기준 (FS 451, 도시가스사업법) [가스배관] 하천도강배관 방호구조물 기준 (FS 451, 도시가스사업법)도로 밑에 묻혀있는 배관과 다르게 하천밑을 횡단하거나 병행하는 배관은 보다 강화된 보호조치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물에 의해 토사가 유실되면 배관이 노출되어 부력을 받아 배관이 강한 응력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또한, 자갈, 돌에 의한 배관에 충격이 가해져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천을 도강하는 가스배관에는 방호구조물을 설치한다. FS 451 2.5.8.2.5 배관 하천 구역 설치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하천을 횡단하거나 병행하는 가스배관은 보호관 혹은 방호구조물 설치를 해야한다. 방호구조물은 보통 콘크리트 인케이스먼트 (concrete encasement)를 말한다. 쉽게 말해서 배관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 2025. 5. 1.
빌라(Villa)는 건축법에 명시된 정식 용어가 아니다 (다세대, 다가구, 연립주택) 빌라(Villa)는 건축법에 명시된 정식 용어가 아니다 (다세대, 다가구, 연립주택) 아파트빌라 한국에서 대표적인 주거형태로는 아파트와 빌라를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오피스텔, 단독주택 등도 있으나 여기서는 아파트와 빌라만 다뤄보도록 하자. 아파트는 거주의 균질성이 높다. 위치에 따라 가격차이가 크지만 상대적으로 빌라보다는 아파트를 선호한다. 아파트의 아랫단계 거주형태가 빌라이다. 빌라는 아파트처럼 똑같이 짓지 않는다. 빌라마다 건축주가 다르기 때문이다.  빌라는 건축법에 명시된 정식용어가 아니다. 사실은 빌라가 아닌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연립주택 중 한가지로 불러야 한다. 하지만 겉으로 봐서는 이게 다가구인지, 다세대인지, 연립인지 알기가 어렵다. 물론 건축분야에서 종사하는 분이라면 구별이 될 수.. 2025. 4. 3.
수용성액체 판단기준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수용성액체 판단기준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제4류 위험물인 인화성액체에서 제1석유류, 제2석유류에는 수용성 액체와 비수용성 액체인 경우 지정수량이 다르다. 1) 제1석유류 지정수량- 수용성 : 400L- 비수용성 : 200L 2) 제2석유류 지정수량- 수용성 : 2000L- 비수용성 : 1000L 아무래도 물과 혼합이 되는 수용성 액체가 지정수량이 많다. 희석효과로 인한 소화도 가능하기 때문이고 boil over, slop over로 인한 피해도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용성을 구분하는 기준은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제13조에 명시되어 있다.* 수용성액체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1) 온도 20℃, 1기압의 실내에서 50mL 메스실린더에 증류수 25ml를 넣은 후 시험물품 2.. 2025. 4. 1.
표준시방서, 공사시방서, 전문시방서 차이 표준시방서, 공사시방서, 전문시방서 차이공사 발주 업무를 하다보면 꼭 만나는 서류가 있는데, 바로 시방서이다.시방서라는 단어의 뜻 자체가 "방법을 나타내는 문서"이다.즉, 어떤 공사의 구체적인 과정 및 방법을 알려주는 중요한 문서이다. 공사에서 시방서는 절대 빠져서는 안되며, 공사의 규모, 정밀도가 올라갈수록 시방서도 자세해져야 한다. 시방서는 크게 표준시방서, 공사시방서, 전문시방서로 나뉜다.1. 표준시방서 설계기준/시방서 - 건설기술정보시스템 CODIL건설공사의 기술성·환경성 향상 및 품질 확보와 적정한 공사 관리를 위한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 등 국가 기준 최신 건설기준(설계기준,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은 국가건설기준센www.codil.or.kr  건설기술정보시스템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 2025. 3.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