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열비 (the ratio of specific heat) - 정압비열/정적비열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열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열, 정압비열, 정적비열, 비열비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특히 공대생이시라면 더더욱 중요한 개념입니다.
비열비(the ratio of specific heat)
정압비열을 정적비열로 나눈 값
$k= \frac{C_p}{C_v}$
$C_p$: 정압비열
$C_v$: 정적비열
정압비열: 압력이 일정한 상황에서의 비열
정적비열: 부피가 일정한 상황에서의 비열
비열비는 주로 기체물질의 특성을 설명할 때 쓰입니다.
액체와 고체의 비열비는 거의 값이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비열비는 주로 k 혹은 $\gamma $로 표시합니다.
비열비 뜻, 의미
기체 종류 | 온도(℃) | 비열비 |
$H_2$ | 20 | 1.410 |
$He$ | 20 | 1.66 |
$H_2O$ | 20 | 1.33 |
$Ar$ | 20 | 1.67 |
$CO_2$ | 20 | 1.30 |
$CO$ | 20 | 1.4 |
$O_2$ | 20 | 1.4 |
$NO$ | 20 | 1.4 |
$N_2O$ | 20 | 1.31 |
$N_2$ | 20 | 1.404 |
$Cl_2$ | 20 | 1.34 |
$CH_4$ | 20 | 1.32 |
$NH_3$ | 20 | 1.31 |
$Ne$ | 20 | 1.64 |
$Xe$ | 20 | 1.66 |
$Kr$ | 20 | 1.68 |
$SO_2$ | 20 | 1.29 |
$C_3H_8$ | 20 | 1.13 |
위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비열비는 기체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집니다.
비열비가 상대적으로 큰 기체가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기체가 있습니다.
비열비가 크고 작음은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k= \frac{C_p}{C_v}$
$C_p$: 정압비열
$C_v$: 정적비열
정압비열: 압력이 일정한 상황에서의 비열
정적비열: 부피가 일정한 상황에서의 비열
위에서 이렇게 설명을 드렸습니다.
비열비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건 정압비열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정압비열은
위 그림처럼 상부는 자유롭게 움직이지만 닫힌 공간에 있는 기체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열을 가해주면 부피가 팽창하면서 외부에 일을 해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기체가 받은 열을 일로 바꿔준 것이죠. 여기서 기체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입니다. 상부 뚜껑이 움직일 수 있으니 압력이 열을 받아 압력이 커졌고 외부와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대기압과 같은 압력으로 맞추기 위해 부피가 커진 것입니다.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이란?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이상기체의 압력, 부피, 질량, 온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 $P$: 압력 $V$: 부피 $n$: 질량(or 몰 수) $R$: 기체상수 $T$: 온도 이상기체 상태방
ikkujun.com
즉, 압력이 일정한 상황에서 열이 일로 변한 것이기에 기체의 정압비열만큼 외부에 일을 해준 것이 됩니다.
이를 통해 정압비열($C_p$)이 클수록 외부에 일을 더 많이 해줄 수 있습니다.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정압비열이 1인 A라는 기체와 정압비열이 0.5인 B라는 기체가 있습니다.
비열이 크다는 건 같은 열을 받아도 온도가 적게 올라간다는 걸 뜻합니다.
$Q = mC_p\Delta T$ 에 의해서 알 수 있습니다.
Q는 일정한게 $C_p$가 크므로 $\Delta T$는 그만큼 작아집니다.
이걸 반대로 보면, A,B 라는 물질의 온도를 똑같이 100도를 낮추면 각각의 기체에서 뺏으려는 열은 어떤 기체가 더 많을까요?
A입니다. 비열이 크니 내려야 하는 Q 값이 크게 되는 겁니다. $Q = mC_p\Delta T$ 에 의해서 알 수 있습니다.
즉, 일로 바꿔줄 수 있는 열을 그만큼 많이 갖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열비가 크다는 건 열을 받으면 상대적으로 외부에 많은 일을 해줄 수 있다는 걸 뜻합니다.
반대로 비열비가 작다는 건 열을 받으면 상대적으로 외부에 적은 일을 해줄 수 있다는 걸 뜻합니다.
조금 이해가 되시나요?
위 표에서보면 불활성기체인 아르곤, 크립톤, 헬륨, 네온 등이 비열비가 높습니다. 즉 이런 기체들은 다른 기체들에 비해 더 많은 일을 해줄 수 있다는 걸 뜻합니다.
어려우시다면 비열비는 불활성기체들이 크고, 비열비가 크면 외부에 일을 많이 해줄 수 있는 기체다 라고 정도면 알고 가셔도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기술자격증 쉽게 합격하는 방법 - 핵심은 기출문제 (0) | 2023.02.05 |
---|---|
[자격증] 기술사 응시자격 정리 - 경력 필수 (0) | 2023.02.02 |
국가기술자격증을 7년동안 10개 취득한 이유 2가지 (0) | 2022.09.15 |
상대습도, 절대습도 차이 쉽게 설명 (0) | 2022.09.13 |
[보일러] 스파이럴 튜브 - 에너지관리기사 (0) | 2022.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