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기술사187

플랜트 기기에서 반응폭주 원인 플랜트 기기에서 반응폭주 원인화학공학의 꽃은 화학플랜트다. 화학반응을 통해 원하는 물질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화학반응은 압력, 온도, 농도 등의 변화가 생기며 이에 따라 위험한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지게 되면 반응폭주가 일어난다고도 하는데,  1. 반응폭주 개념 1) 반응기에서 냉각실패로 인해 반응속도가 급격히 증대되어 과열, 과압이 발생하는 현상 2) 통제범위를 벗어나 위험성이 매우 확대됨 2. 반응폭주 원인구분내용1) utility동력원, 냉각원, 계장용 Air 등에 이상 발생 또는 비정상 가동 중지시 비정상 상태 전개2) 계장시스템계장기기의 오류로 통제범위 한계 도달 미확인3) 배합반응물질간 부적정한 배합 비율4) 불순물부반응에 의한 불순물 농축 → 반응에 영향5) 기기.. 2024. 8. 25.
Fail Safe, Single Ris Fail Safe, Single Risk1. Fail Safe, Single Risk 비교구분Fail SafeSingle Risk개념하나의 수단이 실패해도 다음 수단으로 구제할 수 있도록 고려하는 것다중화 + 다양성한 장소에서는 하나의 위험만 존재한다는것으로 소방의 기본적인 개념Single Risk in Single Area적용예시피난설비: 양방향기구, 비상구, 비상탈출구, 피난기구소화설비 - 주펌프, 예비펌프, 옥상수조 - 입상관 2중화 - 상용전원, 예비전원 - grid, Loop 배관기타 - 시각경보기, 대피공간 - 피난안전구역, 연결송수관고정식 소화설비 겸용: 소화설비가 설치된 부분이 방화벽과 방화문으로 구획시 각 소화설비에 필요한 저수량 중 최대의 것으로제연설비 지하주차장: 연결시 가장 풍량 큰.. 2024. 8. 25.
인간의 심리특성 인간의 심리특성1. 피난계획 1) 유도계획 : 조도기준, 유도원, 음성유도 2) 시설계획 : 단순한 구조, 피난로 2중화 3) RSET  2. 피난시 인간의 심리특성구분내용귀소본능정의: 화재시 평상시 알고 있던 경로로 피난하려는 본능대책: 평상시 친숙한 장소 옆에 출입구나 승상기 계단 등 피난로 설치퇴피본능정의: 화재로부터 멀어지려는 본능대책: 양방향 및 피난로 다중화로 어느 방향으로도 피난가능설계추종본능정의: 많은 군중이 한 사람의 리더를 추종하는 본능대책: 불특정 다수인이 모이는 시설에 피난유도원 육성좌회본능정의: 오른손잡이가 왼쪽으로 돌려는 본능대책: 피난동선 계획시 왼쪽으로 돌며 피난토록 설계지광본능정의: 밝은 방향으로 피난하려는 본능대책: 피난로는 가급적 외기에 접하고 조명등 통한 조도확보 3... 2024. 8. 25.
[소방기술사] 살수헤드 기술기준 [소방기술사] 살수헤드 기술기준1. 구조 1) 직선류 또는 나선류 물을 충돌 확산시켜 분무할 수 있어야 하며 방수구, 프레임 및 디플렉터로 구성 2) 배관에 부착시 그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형 등 없을 것 3) 부착나사는 KS B 0222 중 호칭의 관용테이퍼나사이어야 하며 보관 운반 등 손상되지 않도록 적합한 보호장치헤드 호칭부착나사15PT1/2''20PT1/2'' 또는 PT3/4'' 2. 살수헤드 재료 1)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질 성능이상 없도록 2) KS D 3503, KS D 3501, KS D 3710에 적합하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내식성 및 내열성 있는 것 3) 녹슬 염려가 있는 부분은 방청처리 3. 시험구분내용내화시험살수헤드는 1000±5℃ 시험로 속에서 10분간 가열한 다음 물 속.. 2024. 8. 24.
전기자동차 주차구역 및 물류창고 등 화재예방대책 전기자동차 주차구역 및 물류창고 등 화재예방대책1. 전기자동차 주차구역 1) 지상 설치를 원칙 2) 지하 설치시 원활한 소방활동 위해 지표면과 가까운 층 설치 3) 일정 단위별 방화벽으로 구획, 격리 4) 방출량이 큰 헤드(K-factor 115이상) 또는 살수밀도 증대 5) 전용의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와 방수기구함 설치   - 방수구: 쌍구형, 호스 2개 이상 및 관창 비치  -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용 표지 부착 6) 질식소화포 비치  - 식별이 용이한 곳, 별도의 보관함, 사용설명서 부착  - 화재 초기 관계인에 의해 차량을 도포 2. 물류창고 등구분내용소화설비1. 가연물 종류, 양, 적재방법 등 위험등급 고려2. 종류: 라지드롭헤드, ESFR, 습식 설치3. 배치: 랙 단마다 인랙헤드 적용4. 기준개.. 2024. 8. 21.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소방시설의 내진설계1. 개념내진이란 면진, 제진을 포함한 지진으로부터 소방시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의미함. 2. 설계시 고려사항구분내용지진하중각 지역별 지진계수를 적용하여 지진하중과 지진위험도를 설정한 후 내진에 적용구조물 특성지진의 진폭 및 주기, 진앙깊이 등 진폭형태에 따른 설계고려구조물 연성지진시 최악의 붕괴를 막기 위한 최대의 연성을 부여하여 설계건축물 중요성문화재 및 인명피해 다수 등 건축물 국ㄱ회의사당, 관공서 중요도 설정내진상세부재간 응력초과 구속력 부족 → 건축물 붕괴중요한 내진 상세설정하여 설계 3. 지진분리장치 정의 및 설치기준 1) 정의지진발생시 건축물 지진분리이음 설치 위치 및 지상에 노출된 건축물과 건축물 사이 등에서 발생하는 상대변위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 2024. 8. 20.
소방용 배관 옥외 지중 매립시 고려사항 구분내용대상1. 옥외 소화전 설비 펌프 2차측 배관2. 상수도 소화전 설비 1차측 배관3. 연결송수관 배관동결방지1. 동결심도 확보 Z = CF^1/2 + 30cmZ: 동결심도, C: 정수, F: 동결지수2. 보온시공, 단열재, 열선시공부식방지부식에 의한 배관 손상 및 누수로 방수압 방수량 확보 실패부식에 강한 재질 사용(STS, CPVC, 덕타일 주철관)부식에 강한 재질 사용방식테이프 사용이종금속관 접합시 절연접합하중보호지면에 가해지는 중량이 배관에 미치지 않도록차량 통행시 이에 견디는 구조기타1. 상수도용 소화전은 소화전 주변 배수가 용이하도록 모래, 자갈 등 채움2. 소화수 배수가 가능한 제수변 부착3. 차량 통행 잦은 곳에는 방호장치보통 소화배관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가 되나, 필요에 따라 지면 아.. 2024. 8. 19.
화재확산방지구조 및 재료 화재확산방지구조 및 재료1. 화재확산방지구조 개념 1) 수직 화재확산 방지를 위하여 외벽마감재 사이에 매층마다 최소 400mm이상 특정 재료를 밀실하게 채운 것 2)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구조로 불연, 준불연재료 규정 대체 목적 2. 화재확산방지구조 설치대상 1) 상업지역의 건축물  - 근린생활시설, 위락, 문화집회, 판매 등 바닥면적 합계 2000㎡이상  - 공장용도건축물에서 6m 이내 위치한 건축물 2)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용도 3) 3층 이상 또는 높이 9m이상 건축물 4)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처리, 저장시설 용도로 쓰는 건축물 5) 완화: 5층 이하, 높이 22m 미만시 두개층마다 설치  3. 재료 1) 방화석고보드 12.5mm 이상 2) 평형시멘트판 6mm이상 .. 2024. 8. 18.
[가스계소화설비] 설계농도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지연 요소 [가스계소화설비] 설계농도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지연 요소1. 가스계소화설비 작동 메커니즘화재발생↓감지기 동작, 수동 조작함↓제어반↓시간지연장치↓솔레노이드 밸브↓기동용기↓저장용기↓집합관↓선택밸브↓헤드   2. 시간지연 요소구분내용개념화재발생 후 헤드에서 약제가 방사되기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것감지시간화재발생으로 감지기에서 제어반으로 신호가 전송되기까지 시간아날로그 방식 > 연기감지기 > 열감지기 순으로 감지시간 증가교차회로, 축정형 등 비화재보 방지가 목적이나 약제방사까지 시간이 증가될 수 있음피난시간가스계 소화설비 동작시 즉시 약제가 방사되지 않고 30초의 지연시간을 둠출입구 인근의 abort Switch로 holding이 가능하고 시간지연의 원인구획조성Soaking Time 유지 위한 개구.. 2024. 8.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