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기술사183

[소방기술사] 과압배출구의 성능인증 제품검사 기술기준 [소방기술사] 과압배출구의 성능인증 제품검사 기술기준1. 과압배출구 개념 1) 과압배출구: 가스계소화설비가 작동되어 방호구역 과압을 배출하여 구조물을 보호하는 장치 2) 최대허용압력: 과압배출구가 손상이나 변형등의 이상없이 사용가능한 최대압력 2. 구조 1) 구성: 압력제어장치, 개폐부, 프레임 등 2) 최소개방압력에서 자동으로 개방 시작, 최소폐쇄압력에서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 (10Pa 단위) 3) 개폐부는 과압배출에 지장이 없어야 함 4) 유효배출면적: 최대개방압력에서 실측한 배출면적의 -2~5%범위 5) 재질: 두께 1.5mm이상의 압연 강판 또는 동등이상의 강도 6) 부식방지조치 3. 시험구분내용작동성능 시험최소개방압력 측정값은 설계값의 ±20%이내, 50Pa 이상최대개방압력의 ±10%압력에서 .. 2024. 7. 18.
가스계소화설비 - 설계프로그램의 유효성 확인 가스계소화설비 - 설계프로그램의 유효성 확인1. 개요 1) 모든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two phase(gas, liquid) 유동 특성 2) 설계 프로그램의 유효성 확인에서 중요한 점은 균등방출 및 짧은 방출시간 3) 노즐의 균등 방출과 방출시간은 저장용기 압력, 압력손실 % in pipe 등에 결정 2. 설계프로그램의 유효성 확인구분내용소화약제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 적합기밀시험소화약제 저장용기 이후부터 분사헤드 이전까지의 설비부품 및 배관 등은 양 끝단을 밀폐시킨 후 98kpa 압력공기 등으로 5분간 가압시 누설없도록방출시험1. 방출시간방출시간의 산정은 방출시 측정된 시간에 따른 방출헤드의 압력변화곡선에 의해 산출 - 10초 방출방식±1초 - 60초 방출방식 ±10초 - 기타설비 : .. 2024. 7. 16.
[소방기술사] 건물화재 모델 (Zone, Field, Detector, Egress, Fire Endurance) [소방기술사] 건물화재 모델 (Zone, Field, Detector, Egress, Fire Endurance)1. Zone Model 1) 개념: 화재실을 상부경계층과 하부경계층 두개의 검사체적으로 분할하여 화재진행 현상을 예측하는 방법 2) 특징구분내용적용공간간단한 크기, 구획된 건물지배방정식1차 상미분 방정식물질이동 해석질량보존, 에너지 보존소요시간짧고 계산과정 간단신뢰도신뢰도 낮음특징화재위험성 예측 용이프로그램CFAST 2. Field Model 1) 개념: 화재실을 다수의 검사체적으로 분할하여 전산유체 통한 화재진행 현상을 예측하는 방법 2) 특징구분내용적용공간대공간, 야외공간, 산업계 화재지배방정식2차 편미분 방정식물질이동해석질량 에너지 운동량 보존소요시간길고 계산과정 복잡신뢰도높음특징난류 .. 2024. 7. 15.
[소방기술사] 방염 - 방염대상, 실내장식물, 방염성능기준 [소방기술사] 방염 - 방염대상, 실내장식물, 방염성능기준1. 방염개념 (Fire Retardancy) 1) 가연성인 물질의 표면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약제처리를 한 것 2) 방염재료는 순간적인 접염일 경우에만 그 효과가 있고, 지속적인 화염 노출시에는 일반가연물과 같이 발화 3) 관련식 $t=\rho cl\Delta T/\dot{{q}''}$ → 발화시간 t를 연장시키는게 방염 2. 방염대상 1) 근린생활시설 중 의원, 조산원, 산후조리원, 체력단련장, 공연장 2)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 3)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노유자시설 4)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숙박시설 5)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6) 다중이용업소,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 (아파트 제외) 3. 실내장.. 2024. 7. 13.
제조소 내 위험물 취급 배관 1. 재질 1) 강관 2)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금속성 3) 예외  -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 내관 및 외관의 이중, 틈새공간 두어 누설 확인  - 안전성에 대한 시험, 인증  - 배관 지하 매설 2. 내압시험 1) 불연성 액체 이용시 최대상용압력 1.5배 이상 2) 불연성 기체 이용시 최대상용압력 1.1배 이상 3) 누설또는 그 밖의 이상이 없는 것 3. 지상설치 1) 지진, 풍압, 지반침하, 온도 변화에 안전한 구조 지지물 2)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배관 외면에 부식방지 도장 4. 지하매설 1) 금속성 배관의 외면: 부식방지 위해 도장, 복장, 코팅 또는 전기방식 등 필요한 조치 2) 점검구 설치: 배관 접합부 누설여부 점검 3) 지면에 미치는 중량이 당해배관에 미.. 2024. 7. 12.
리튬이온배터리 개념, 구성 리튬이온배터리 개념, 구성1. 리튬이온배터리 개념도 2. 리튬이온배터리 구성구분내용양극Cathod리튬이 들어가는 공간(활물질)배터리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 - 리튬의 양 > 배터리 용량 결정 - 음극과 양극의 전위차 > 전압음극Anode리튬산화물을 가역적 흡수 방출하면서 외부회로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흑연이 주요 구성부 (낮은 전자 화학 반응성, 리튬 저장용량 크고, 구조적 안전성 높음)전해액리튬이온이 이동하는 매개체이온전도도가 높은 물질EC, DEC, PC + 용해 염분리막배터리의 안전성을 결정짓는 구성요소리튬이온만 전해액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인 filter내부단락(ISC) 방지 2024. 7. 12.
[소방기술사] 가스계소화설비용 수동식 기동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 [소방기술사] 가스계소화설비용 수동식 기동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1. 구조 및 일반기능 1) 기동장치에는 보호장치 설치  - 보호장치 기동스위치를 덮는 구조  - 설치상태에서 기동스위치가 보이는 재질  - 손으로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조작하기에 용이하게 열림  - 개방시 부저, 벨 등에 의한 경고음 발함 2) 기동스위치: 수동으로 복귀되지 않는 한 지속되는 스위치 사용 3) 스위치 작동방향으로 가하는 힘이 5kg 이하에서 작동 4) 기동스위치 부근에 자동복귀형 방출지연스위치 설치 5) 표시등  - 전원상태: 녹색등, 작동상태: 적색등  - 각 등에 용도 표시 6) 접속단자에 극성이 있는 경우 오접속 방지위해 극성 표기 7) 사용자가 조작시 상해를 주지 않는 구조 8) 외함: 강판 1.2.. 2024. 7. 12.
[소방기술사] 단열재 [소방기술사] 단열재1. 단열재 개념 : 인접구역으로의 열전달을 최소로 하여 화재확산 방지, ASET 확보 2. 열전도와 단열성구분열전도율단열성(열저항)개념전도를 통해 얼마나 열전달이 잘 일어나는지 나타내는 값열전달을 방해하는 성질단위W/m·K㎡·K/m의미열전도도가 높다 = 단열성이 낮다불연재료, 방화유리창, 방화판 등은 열전도율이 낮아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큼목재가 콘크리트에 비해 열저항이 5배 크므로 목재가 단열성 우수 3. 단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구분내용두께재료의 두께가 커질수록 단열성 우수흡수율물 등에 대한 흡수율이 크면 단열성이 낮아져 투습저항계수가 높은 제품 사용필요물리적 강도물리적 강도가 좋을수록 경년변화 영향이 덜하여 단열성 유지에 뛰어남내약품성내약품성이 우수할수록 경년변화 영향이.. 2024. 7. 11.
[소방기술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소방기술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1. 기본정보 - 사업장명 - 유해화학물질소재지 - 사업장 총괄개요 - 단위공장별 세부 취급시설 개요 - 공정의 간략한 개요 - 함량기준 이상 화학물질의 CAS 번호 - 취급물질의 상태 2. 시설정보 - 공정흐름도 (PFD) - 주요설비의 표시 명칭 - 주요계장설비 - 물질 및 에너지수지 - P&ID - 밸브 배관류 부속품 - 기기번호 및 주요 명세 - 독성가스감지기 (인화성감지기, 누액감지기) 3. 장외평가정보 - 유해화학물질의 농도, 성상, 취급량, 운전조건 - 시나리오 규정량 이상 선정 - 사업장 주변지역 평가 - 근로자 거주민 구분 - 위험도 분석 - 사고 시나리오 개수, 빈도 - 사고 빈도점수 - 사고영향점수 4. 사전관리방침 - 안전관리계획 - 방향 및 목표 .. 2024. 7.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