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33

소방설비기사(전기) 필기과목 2개 면제받는 법 - 기사자격증 필기과목 면제 소방설비기사(전기) 필기과목 2개 면제받는 법 - 기사자격증 필기과목 면제 2023년 기사 4회차에서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원서접수 사전입력을 마쳤습니다. (사전입력은 8/7 원서접수일 전날까지만 가능하니 필요하신분은 일요일 저녁까지 해놓으시길 바랍니다) 지난번에 기사 자격증 필기시험 면제과목에 대한 포스팅을 했었는데, 이번에 시험을 치르게 되면서 실제로 어떻게 필기과목 면제를 선택할 수 있는지 후기를 남겨보고자 합니다. 소방설비기사(기계) 취득하면 면제되는 과목 - 소방원론, 소방관계법규 소방설비기사(기계) 취득하면 면제되는 과목 - 소방원론, 소방관계법규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자격증 면제과목 관련 팁 5가지를 말씀드렸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자 ikk.. 2023. 8. 5.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 물분무, 미분무 소화설비 차이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 물분무, 미분무 소화설비 차이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방기술사에서 매우매우 중요한 스프링클러, 물분무, 미분무 소화설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찌보면 비슷하지만, 각 설비마다 목적은 전혀 다릅니다. 스프링클러, 물분무, 미분무 소화설비의 각각 특징을 간단히 알아보고, 마지막에 표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방기술사] 물분무소화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차이점 - 설치장소, 수원의 양 [소방기술사] 물분무소화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차이점 - 설치장소, 수원의 양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화재안전기준을 공부하다보니 물분무소화설비와 스프링클러의 차이가 무엇인가 궁 ikkujun.com 지난번에 스프링클러와 물분무소화설비를 비교했었는데요. 이번에는 미분무.. 2023. 2. 13.
[소방기술사] 옥내소화전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102) 변경 (옥내소화전 수원, 유량 계산시 최대 2개) [소방기술사] 옥내소화전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102) 변경 (옥내소화전설비 수원, 유량 계산시 최대 2개)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옥내소화전은 건물 안에서 불을 끄기 위한 정말 중요한 설비입니다. 옥내소화전만 잘 써도 초기화재는 어렵지 않게 진압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옥내소화전설비 화재안전기준에서 변경된 점 중 한가지를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옥내소화전설비 수원, 유량 계산시 최대 개수가 5개에서 2개로 변경되었다는 것입니다. 옥내소화전설비 수원, 유량 계산시 최대 5개 > 2개 변경 옥내소화전 유량: 130L/min 수원: 2,600L 옥내소화전설비 갯수에 따라 유량은 130L/min을 곱하고, 수원은 2600L을 곱하면 됩니다. 그러면 가압송수설비에 필요한 유량과 수원의 양.. 2023. 2. 6.
[소방기술사] 성능설계를 해야하는 소방대상물 종류 [소방기술사] 성능설계를 해야하는 소방대상물 종류 소방기술사를 공부하다보면 꼭 만나는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성능설계(성능위주설계)이다. 소방기술사가 되어 설계업무를 맏게 된다면, 특히나 대형 건설사 등에서 일하게 된다면 성능설계는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성능설계는 일반 법규설계(CBD)와는 차이가 많다. 성능설계란? Performance Based Design. 말그대로 성능을 위주로 한 설계이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하면 '건축물 등의 재료, 공간, 이용자, 화재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학적 방법으로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화재안전성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특정소방대상물을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쉽게 말해서, 법규(규약)대로만 설계하면 소방.. 2023. 1. 30.
화재안전기준(NFSC) 이원화 - 화재안전성능기준, 화재안전기술기준 화재안전기준(NFSC) 이원화 - 화재안전성능기준, 화재안전기술기준 (2022.12.01 적용)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소방기술사 공부를 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법규입니다. 소방기술사를 비롯한 소방 관련 자격증은 화재안전기준을 토대로 공부를 해야합니다. 하지만 이런 법규는 법 개정을 거쳐 바뀌곤 합니다. 이번에는 꽤 크게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화재안전기준이 두 개로 나뉘었습니다. 화재안전기준이 나뉜 이유 화재안전기준은 행정규칙입니다. 쉽게 말해 '법'입니다. '법'은 국회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하지만 신기술, 신제품은 하루가 멀다하고 출시됩니다. 보통 신기술, 신제품에는 새로운 성능이 도입되기 때문에 이 기준에 맞춘 법 개정이 필수적입니다. 화재안전기준은 법이.. 2022. 12. 27.
[소방기술사] 공동현상 (Cavitation) 정리 - NPSHa, NPSHr [소방기술사] 공동현상 (Cavitation) 정리 - NPSHa, NPSHr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방펌프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위험한 현상인 공동현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동현상이란? 원심펌프 흡입측에서 기포 방울이 발생하는 것 기포 방울이 생겨서 뭐가 문제냐? 라고 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러한 기포 방울이 펌프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면 펌프에서 압력을 받으면서 기포 방울이 터지게 됩니다. 터지면서 소방 펌프의 안내깃을 타격하는데, 금속 부품이 손상될 정도로 강력합니다. 물론 기포 방울 한개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 펌프는 오랜 시간 가동되기 때문에 기포 방울이 계속 생기면서 펌프 내부 부품을 손상시킵니다. 위 사진이 기포 방울이 터지면서 어떻게 펌프에 손상을 가하는.. 2022. 10.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