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3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성능시험 점검사항 - 저장용기, 기동장치, 선택밸브, 감지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성능시험 점검사항 - 저장용기, 기동장치, 선택밸브, 감지기 1. 저장용기 점검사항 1) 공통 - 설치장소 적정여부 (방호구역 외 또는 내부 피난구 부근, 온도 40도 이하 및 변화 적은 곳, 직사광선 및 빗물 침투 여부) - 표지 설치 여부 및 저장용기실 방화문 구획 여부 - 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 저장용기 간격 이격(3cm 이상) 여부 - 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 저장용기 충전비 적정여부 - 저장용기 내압시험압력 합격여부 - 저장용기 개방밸브 자동, 수동 개방 및 안전장치 부착 여부 -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 사이 안전장치 설치 2) 저압식 - 안전밸브 및 봉판설치 적정 여부 - 액면계, 압력계 설치여부 및 압력강하경보장치 작동압.. 2023. 11. 30.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역사 [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역사 스프링클러는 소방에서 가장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소화설비입니다. 스프링클러로 정말 많은 인명을 살렸고 많은 재산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스프링클러는 많은 화재로부터 사람을 지켜줄 것입니다. 지금의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가 개발되기 위해서 정말 많은 화재와 시행착오가 있어 왔습니다. 저는 처음에 sprinkler가 아닌 spring cooler인 줄 알았습니다. 봄에 날씨가 더워지니 시원하라고 트는 물건인가? 싶었습니다. 하지만 소방 공부를 하면서 sprinkler라고 제대로 알게 되었고, 소방에서 정말 중요한 설비라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1. 스프링클러의 시초는 영국 귀족 - 재산보호에서 인명보호로 1) 영국 귀족.. 2023. 11. 22.
내화구조 성능기준 (1) 두께 - 구조를 이해하면 외우기 쉽다 내화구조 성능기준 (1) 두께 - 구조를 이해하면 외우기 쉽다 1. 내화구조 성능기준 두께 내화구조 성능기준에 만족하려면 철근 혹은 철골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그래서 건축법에는 내화구조 성능기준에 두께 기준을 정해두었다. 소방기술사 시험에서 단골로 출제되며, 방화구획 등 다른 개념과 엮어서 쓸 곳도 많아서 잘 알아두어야 한다. 무작정 암기하는 방벙도 있지만 건축구조를 조금이라도 이해하면 외우기가 수월하다. 필자도 건축에 건자도 모르기에 학원에서 수업을 들으며 배운 내용을 정리하였다. 구분 (단위: cm) 벽 외벽 기둥 바닥 보 지붕 계단 (1)철근콘크리트 (2) 철골철근콘크리트 10 7 O 10 O O O 철골기본 구조 (3) 콘크리트 (4) 철망모르타르 (5) 콘크리트블록, 벽돌 - - .. 2023. 11. 20.
제연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 일부개정안 - 제연설비의 성능확인 절차 추가 (소방청공고 2023-226호) 제연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 일부개정안 - 제연설비의 성능확인 절차 추가 (소방청공고 2023-226호) 제연설비는 소방인들도 어려워하는 설비이다. 공기의 흐름이라는 게 통제하는 것도 어렵고, 수계소화설비처럼 딱 떨어지게 계산할 수 있으면 좋은데 제연설비는 그렇지 않다. 이런 점을 소방인들도 알고 있기에 조금씩 고쳐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번 제연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 개정안이 공고되었다. 1. 개정이유 제연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 NFPA501에 따른 거실제연설비의 경우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와 달리 완공시 제연설비의 성능확인 절차를규정하고 있지 않아 설비의 신뢰성 검증에 대한 논란이 있어 거실제연설비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화재안전기준에 성능확인을 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마.. 2023. 11. 13.
소방기술사 - 소방이란 무엇인가? 소방기술사 - 소방이란 무엇인가? 소방의 정의 消防 사라질 소, 막을 방 Firefighting 소화 + 방재를 합친 뜻으로, 화재 예방(방재) 및 화재 상황 발생시 진압(소화)에 목적을 두는 활동을 일컫는 용어 소방하면 대부분 불을 끄는 소화만 생각한다. 소방기술사를 공부하기 전까지는 필자도 그랬다. 하지만 소방에서는 소화와 더불어 방재도 정말 중요하다. 방재가 잘 되어 있으면 소화에서 할 일이 많이 줄어들고 그만큼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최근에 발생한 대전 현대아울렛 화재도 방재만 잘 되어 있었으면 화재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만큼 화재는 생긴 후에 끄는 것보다 아예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게 진짜 중요하다. 그래서 소화가 아닌 '소방'인 것이다. 소방의 중요성 건축물을 지을 때 최우.. 2023. 10. 26.
소방관련 기사, 개정 법규 볼 수 있는 사이트 7곳 소방관련 기사, 개정 법규 볼 수 있는 사이트 7곳 2023년 소방기술사 필기시험 트렌드는 '법규'이다. 법규에 관련된 문제가 많이 나오고, 개정된 법규를 물어보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고 있다. 아무래도 기본 개념문제는 너도 나도 잘 쓰기 때문에 차별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법규 관련 문제를 많이 출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법규 문제는 논리력, 사고력이 필요하지 않은 문제이다. 즉, 알고있으면 맞는 거고 모르면 100% 틀리는 거다. 그러면 채점관들도 채점하기가 매우 수월하다. 채점관 3명이서 1000명의 답안지, 약 64,000페이지를 채점하는 게 정말 힘들거다. 하지만 그래도 소방기술사가 소방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을 뽑는 시험인데, 법규 잘 안다고 뽑으면 안되지 않을까? 그래도 시험의 트렌.. 2023. 9. 21.
소방기술사 131회 시험후기 정리 - 푼 문제들과 느낌, 예상점수 소방기술사 131회 시험후기 정리 - 푼 문제들과 느낌, 예상점수2023년 8월 26일 131회 기술사 필기시험 치르신 분들 모두 고생많으셨습니다. 저는 131회 소방기술사를 치르고 왔습니다. 벌써 세번째 시험입니다. 공부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다보니 시험을 보면서 점점 제가 성장하는 게 느껴집니다. 이번 131회 소방기술사 목표 점수는 50점입니다. 보통 소방기술사 필기시험에서 50점을 받으면 합격할 수준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10월 11일에 점수 발표인데, 얼른 10월이 오길 바래봅니다.129회130회131회41.239.5목표 50점이번 포스팅에서는 131회에서 제가 푼 문제들을 정리하고 답안을 어떻게 작성했고 몇점을 받을 수 있을지 예상해보려고 합니다. 실제 점수는 채점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3. 8. 29.
[소방기술사] 내화전선(FR-8), 내열전선(FR-3) 성능, 시공방법 (성능기준 개선) [소방기술사] 내화전선(FR-8), 내열전선(FR-3) 성능, 시공방법 (성능기준 개선) 소방설비의 99%는 상용전원(한전)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비상전원, 자가발전설비, ESS 등 배터리나 발전기로 전기를 스스로 공급하는 시설도 있지만 극히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래서 소방에는 전기가 매우 중요하다. 전기가 없으면 소방설비는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전선(electric wire)이 필요하다. 우리가 가스나, 수도를 공급받기 위해 배관이 필요한 것처럼 말이다. 소방에서 전선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내화전선과 내열배선이다. 내화전선, 내열전선으로 소방에서 사용하는 전선제품이 있다는 건 특별한 성능을 갖췄다는 거다. 바로 화재.. 2023. 8. 10.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CBT 변경 - 이제 기출문제 공개 없다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CBT 변경 - 이제 기출문제 공개 없다 소방에서 기사 자격증은 무엇이 있을까? 소방기사? 아니다. 소방설비기사이다. 소방설비기사는 기계, 전기분야로 나뉜다. 그래서 자격증도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와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가 별개로 있다. 소방감리로써 일하려면 전기, 기계 모두 취득해야 한다. 필자도 최근에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에 접수했다. 근데 고사장별로 접수인원이 너무 적었다. 원래 한 학교당 몇백명 정도 되는데 많아야 스무명 정도만 고사장당 접수가 가능했다. 뭔가 이상해서 찾아보니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는 PBT가 아닌 CBT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CBT 방식으로 바뀌면서 고사장 마감이 매우 빨리 되는 것 같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컴퓨터가 설치된 고사장을 확보하는 게 .. 2023. 8.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