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33

[소방] 피난안전구역 설치기준 [소방] 피난안전구역 설치기준1. 피난안전구역 개념 1) 대상: 고층건축물,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2) 용도: 고층 재실자의 과도한 지상층 피난으로 RSET 최소화, 재해약자에게 일시적 피난 거점 2. 피난안전구역 설치기준 1) 설치대상 및 면적기준구분설치기준면적기준초고층 건축물- 지상층 30층마다 1개소 이상- 지하층이 지하연계 복합 건축물 용도시 1개소 이상- 피난안전구역 윗층 재실자수 × 0.5 × 0.28㎡- 윗층 재실자수 = 위층면적 / 재실자 밀도30~49층 지하연계복합건축물- 전체 1/2에 해당층 상하 5층이내 1개소피난안전구역 윗층 재실자수 × 0.5 × 0.28㎡16 ~ 29층 지하연계복합건축물지상층별 재실자밀도 1.5명/㎡ 초과층사용형태별 면적 합 1/10 이상 2) 구조 및 설비기준  .. 2024. 8. 5.
[소방] 배관의 Schedule Number (Sch. No) [소방] 배관의 Schedule Number (Sch. No)1. 개념 1) 배관 내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배관 두께의 강도 2) 일반적으로 동일 재질이면 배관 두께가 두꺼울수록 Sch No. 증가 2. Sch No. 산출관련식내용Sch No. = $1000*\frac{P}{\sigma} $P: 유체의 최대사용압력$\sigma $: 강관의 허용인장응력 = 최대인장강도/안전율종류10, 20, 30 ,40 80, 100, 120, 160번호 증가시 배관 두께 증가, 사용압력 증가 3. 소방에서 활용구분내용수계물의 최대압력에 따라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Sch No. 적용가스계이산화탄소 - 고압식: 스케쥴 넘버 80이상 - 저압식: 스케쥴 넘버 40이상할론: 스케쥴넘버 40이상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t= \.. 2024. 7. 20.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1. 개념  송광부와 수광부에서 적외선을 주고 받는 광축상에 연기가 유입시 수광량의 감소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 2. 구성신호발생기(발광부) ------------------------------(광축)--------------------------------(수광부)대역증폭기-검파기-증폭기-비교기-경보기1) 송광부: 수광부로 적외선 방출2) 수광부: 광선의 신호감도를 모니터링3) 제어부: 광선의 신호감도가 화재삼황에 부합하는지 검사4) 수신기: 화재신호를 받아 경보 발생5) 시험기: 감지기의 작동상태를 시험할 수 있는 장치. (바닥에서 1.5m ) 3. 메커니즘송광부에서 수광부로 광원 송출↓연기유입↓수광부의 수광량 감소↓전기적 변화감지↓.. 2024. 6. 8.
[소방기술사] 소방시설 비상전원 [소방기술사] 소방시설 비상전원 1. 비상전원 정의 1) 개념: 상용전원 공급중단시 자동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설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원설비 2) 종류 자가발전설비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비상전원수전설비 소화설비, 소화활동설비, 피난설비 소화설비, 소화활동설비, 피난설비, 경보설비 차고, 주차장 등 1000㎡ 미만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비상콘센트 등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상용전원 차단시 자동으로 전원공급 정격전압 공급을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며 신속한 절체시간이 요구되는 경보설비, 피난설비 적용에 문제 디젤엔진과 가스터빈으로 분류 상용전원 차단시 신속한 절체시간에 의한 전원공급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설비내부에 내장한 방식 주로 감시제어, 경보설비, 피난설비 등에 적용 (전기저장장치: 전기에.. 2024. 4. 2.
[소방기술사] 창고의 정의, 특성, 화재위험, 화재안전기준 [소방기술사] 창고의 정의, 특성, 화재위험, 화재안전기준 1. 창고의 정의 구분 내용 창고시설 창고, 하역장, 물류터미널, 집배송시설 랙식창고 물품보관용 랙을 설치하는 창고시설 적층식 랙 선반을 다층식으로 겹쳐 쌓는 랙 2. 물류창고의 특성 1) 연소형태 및 화재하중: 가연물을 직접 보관, 연소 쉬움, 랙식창고는 연소가 빠르고 격렬, 표면적 넓고 공기량 많음 2) 화재확대: 방화구획 어려움 - 물품의 단순저장과 더불어 포장, 가공 등 작업 병행 - 컨베이어, 지게차 등에 의한 물품이송으로 구획 어려움 3) 물품의 저장 및 관리: 위험물 혼재 보관, Pallet, 플라스틱 사용, 발화원과 저장물품 이격 필요 4) 화재원인 - 용접용단 등 불꽃, 전열기, 포장작업의 전기히터 - 공조설비, 전기시설 등 열원.. 2024. 3. 18.
[소방기술사] 냉동물류창고 화재 - 특성, 문제점, 소화설비, 개선방향 [소방기술사] 냉동물류창고 화재 - 특성, 문제점, 소화설비, 개선방향 1. 개요 1) 수산물, 육류제품 등 식품류의 변질, 부패를 막고 신선보관용도로 사용하는 창고 2) 냉동: -18℃, 냉장: 10℃이하 유지 3) 일반적인 관리온도: -25℃ 이하 (개구부를 통한 냉기 유출 및 물품 이동 위한 개구부 열린 시간동안 냉기 유출) 2. 냉동물류창고의 특성 및 화재위험성 1) 출입구를 제외하고는 창문이 없는 밀폐공간 2) 특정 샌드위치 패널 사용 - 폴리우레판폼 단열재가 도포되어 밀폐공간 구성 - 화재인지 어렵고, 화재폭발 동반 - 연결부위 통한 화재확산 우려 3) 방화 및 피난 관련 - 대부분 창문이 없고 출입구가 멀며, 복잡한 구조로 많은 적재물이 있어 재실자의 피난 장애물이 됨 4) 소방설비적 특징 .. 2024. 3. 17.
소방방재신문 24년 2월 주요 내용 - 방학동 화재 원인, 24년 바뀌는 소방시설 소방방재신문 24년 2월 주요 내용 - 방학동 화재 원인, 24년 바뀌는 소방시설 1. 방학동 아파트 화재 - 방화문 개방으로 연기확산 방학동 아파트 화재는 정말 안타까운 사고였다. 화재는 3층 1호라인에서 발생했으나 방화문이 정상적으로 닫혀 있었다면 화재는 구획될 수 있었다. 하지만 2, 3호 라인 주민들의 승강기 이용 편의성을 위해 대부분의 층에 방화문이 열려있었다. 방화문을 열어놓는 것은 건축법, 소방법 위반이다. 불편하더라도 화재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기에 방화문을 꼭 상시 폐쇄시켜야 한다. 방화문으로 불편하다면 화재감지와 연동되어 방화문이 자동폐쇄될 수 있는 도어 클로저를 설치해야 한다. 2. 소방시설 변경 2024년부터 시행되는 개정법안은 크게 2가지가 있다. 1.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기술기준.. 2024. 2. 28.
소방에서 수동(passive), 능동(active) 시스템이란? 소방에서 수동(passive), 능동(active) 시스템이란? 1. 불을 끄는 것만이 소방이 아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해야하는 건 2가지다. 피난과 소화다. 화재가 발생한 건물 안에 있는 재실자는 지상층 혹은 피난층 등 화재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피난). 그리고 화재가 성장하여 건축물의 다른 부분까지 확산되지 않도록 소화를 해야 한다. 이때, 소화의 방법은 2가지로 나뉜다. 수동시스템, 능동시스템이다. 2. passive (수동) system 정의: 부분화(partition)를 통해 화재를 한정하면서 화재의 가혹도 또는 화재하중을 낮추는 방법 예시 방화구획(내화구조 포함): 내화구조의 벽, 바닥과 방화댐퍼, 방화문 등을 통해 화재확산을 최소화 배연창(건축법):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일부러.. 2024. 2. 26.
[소방기술사]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란? [소방기술사]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표 랜드마크 건물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서울을 기준으로 한다면 여의도의 63빌딩, 잠실의 롯데타워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인천, 등등에도 랜드마크라 할 수 있는 건물들이 있습니다. 명칭 층수 높이 위치 63빌딩 60층 249.6m 서울시 영등포구 목동 하이페리온 69층 256m 서울특별시 양천구 타워팰리스 3차 G동 69층 263.7m 서울특별시 강남구 해운대 두산위브 더 제니스 80층 300m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동북아무역타워 68층 305m 인천광역시 연수구 롯데월드타워 123층 554.5m 서울특별시 송파구 이런 높은 초고층 건축물을 마천루라고도 합니다. 하늘을 찌를듯한 건물이라는 뜻입니다. 이런.. 2024. 1.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