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위험물29

[소방기술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대상 물질, 작성항목 [소방기술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대상 물질, 작성항목 문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대상 물질과 작성항목을 설명하시오. 1. MSDS 작성대상 물질 1) 물리적 위험물질 인화성가스 인화성 액체 인화성 고체 산화성 가스 산화성 액체 산화성 고체 폭발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자기반응성 물질 자연발화성 액체 자기발열성 물질 자연발화성 고체 고압가스 물반응성물질 금수성물질 에어로졸 2) 건강유해물질 급성 독성물질 피부 부식성 또는 자극성 물질 심한 눈 손상 또는 눈 자극성 물질 호흡기 과민성 또는 피부과민성 물질 발암성 물질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생식독성 물질 흡인 유해성 물질 3) 환경유해성 물질 - 수생환경유해물질 - 오존층 유해성 물질 2. MSDS 작성항목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물리화학적.. 2023. 9. 11.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안전거리, 보유공지 기준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안전거리, 보유공지 기준 위험물 안전거리, 보유공지는 기능사부터 기술사까지 출제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그만큼 위험물 시설은 화재 및 폭발로 주변 건축물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일정거리 이상 떨어뜨려야 한다. 그래야 피해가 더 확산되지 않는다. 위험물과 관련된 내용은 외울게 정말 많다. 그래도 어려운 건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외우기만 하면 시험에서 잘 써먹을 수 있는 개념이다. 안전거리와 보유공지는 헷갈리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번기회에 확실히 내 지식으로 만들기를 바란다. 안전거리, 보유공지 정의 안전거리: 위험물제조소 등 위험물을 취급 저장하는 제조소의 가장 외벽에 있는 담벽으로부터 다른 건축물 외벽까지의 거리 보유공지: 위험물조소 등 위험물을 취급, 저장하는 장소의 외벽으.. 2023. 7. 20.
[소방기술사] NFPA 472 위험물 분류 - 위험물안전관리법 비교 [소방기술사] NFPA 472 위험물 분류 - 위험물안전관리법 비교 우리나라의 위험물을 대표하는 법으로는 '위험물안전관리법'이 있습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른 시행령, 규칙도 있습니다. 국내에서 위험물은 총 6종류로 분류됩니다. 산화성 고체, 가연성 고체,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인화성 액체, 자기반응성 물질, 산화성 액체입니다. 가스, 특수가연물 등도 위험한 물질이지만 정확히는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위험물은 액체, 고체에 한합니다. 미국의 소방관련 법인 NFPA는 위험물을 훨씬 더 다양하게 분류합니다. 기술사 시험에 NFPA와 위험물안전관리법 위험물을 비교하라는 문제가 충분히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외워두는 게 좋습니다. 어렵지는 않지만 외울게 많다는 것 뿐입니다. NFPA 472 위험물.. 2023. 7. 16.
[소방기술사] GHS 분류기준 -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GHS 분류기준 -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는 화학물질 분류표시 국제조화시스템으로, 쉽게 말해 전세계적으로 통일한 물질 분류 체계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험물을 구분하는 기준이 NFPA와 다릅니다. 하지만 GHS는 만국공통입니다. 국제적으로 통일을 했기 때문에 어디서든 GHS를 쓸 수 있고 어느 나라를 가도 어떤 물질인지, 어떤 위험성을 가졌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소방기술사에는 이런 위험물 관련 내용도 많이 출제됩니다. 그리고 물리적 위험성, 건강유해성을 갖는 화학물질에는 위 그림과 같은 경고 표지가 붙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위험한 물질이라는 걸 한눈.. 2023. 7. 15.
[소방기술사] 위험물 중요 반응식, 특징 정리 [소방기술사] 위험물 중요 반응식, 특징 정리 오늘 위험물 특강을 들으면서, 화학을 잘 알고 있는게 위험물에서 정말 큰 장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화공전공자이지만, 화학에 대해서는 아주 조금 알고 있다. 그래도 나의 작은 지식이지만 다른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오늘 특강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화학식은 이해를 돕고자 쓴 것이므로 화학식보다는 품명을 외우는 데 집중하시는 게 좋습니다. 1. 제1류 위험물 (산화성 고체) 1) 종류 및 지정수량(암기법: 염아과무/브요질/중과) 품명 화학식 지정수량 위험등급 아염소산염류 $XClO_2$ 50kg Ⅰ 염소산염류 $XClO_3$ 과염소산염류 $XClO_4$ 무기과산화물 (금수성 주의) $X_2O_2$ 브롬산염류 $XBrO_3$ 300.. 2023. 6. 5.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 제5류 위험물 관련 문제 [소방기술사] 위험물안전관리법 - 제5류 위험물 관련 문제 문제.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제5류 위험물에 대하여 다음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1) 성질, 품명, 지정수량, 위험등급 2) 저장 및 취급방법 3) 위험물 혼재기준 4) 히드록실아민 1000kg을 취급하는 제조소의 안전거리 산정 1. 제5류 위험물의 성질, 품명, 지정수량, 위험등급 1) 성질 - 자기반응성 물질(자체 산소 함유) - 연소시 연소속도가 매우 빨라 폭발성이 강함 - 가열, 마찰, 충격시 폭발 위험 2) 품명, 위험등급, 지정수량 품명 지정수량 위험등급 유기과산화물 10kg Ⅰ 질산에스테르 히드록실아민 100kg Ⅱ 히드록실아민염류 히드라진유도체 200kg 니트로화합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디아조화합물 2. 제5류 위험물 저.. 2023. 4. 20.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소방기술사 120회 1교시 5번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소방기술사 120회 1교시 5번 Q.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소화성능이 인정되는 경우 예외이기는 하나 이 내용은 무시한다.) 개요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제3류 위험물 - 특징 및 이유 제5류 위험물 - 특징 및 이유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를 적용할 수 없는 위험물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제3류 위험물인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이다. 제3류 위험물은 물과 닿으면 격렬한 반응을 일으키면서 엄청난 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 2022. 9. 22.
2021년 2회 소방설비기사(기계) 기출문제 해설 - 11번,12번,13번,14번,15번 1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을 수납하는 운반용기의 외부에 주의사항을 표시하여야 할 경우, 어떤 내용을 표시하여야 하는가? 1) 물기엄금 2) 화기엄금 3) 화기주의/충격주의 4) 가연물 접촉주의 더보기 답: 4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이다. 제4류 위험물, 제2류 위험물에 산소를 제공하면서 화재 및 폭발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위험물의 종류 및 성질 - 제6류 위험물(산화성 액체) 유별 성질 품명 지정수량 제6류 산화성 액체 1. 과염소산 300kg 2. 과산화수소 300kg 3. 질산 300kg 4. 그 밖에 행정안정부령으로 정하는 것 300kg 5. 제1호 내지 제4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함 ikkujun.com 12. 다음 연소 생성물 중 인체에 독성이 가장 높은 것.. 2021. 8. 10.
위험물산업기사 2020년 1,2회 통합 16,17,18,19,20번 풀이 16. 다음의 반응에서 환원제로 쓰인 것은? $MnO_2 + 4HCl \rightarrow MnCl_2 + 2H_2O + Cl_2$ 1) $Cl_2$ 2) $MnCl_2$ 3) $HCl$ 4) $MnO_2$ - 산화수를 이용해 푸는 문제다. O(산소): -2 H(수소): +1 할로겐 족 원소: -1 (이 문제에서는 염소) 을 기본으로 해서 산화수를 구해보면 즉, $MnO_2$가 환원되었으므로 HCl이 환원제로 작용한 것이다. 17. 중성원자가 무엇을 잃으면 양이온으로 되는가? 1) 중성자 2) 핵전하 3) 양성자 4) 전자 - 수소 원소를 예로 들어보면, 수소 원소에서 전자가 빠져나가면 수소이온(양이온)이 된다. 18. 2차 알코올을 산화시켜서 얻어지며, 환원성이 없는 물질은? 1) $CH_3COCH_3.. 2021. 6.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