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동화재탐지설비7

[소방기술사] PAS (positive alarm sequence) [소방기술사] PAS (positive alarm sequence)1. PAS의 정의와 주요기능구분내용정의1. 화재신호시 화재 상황 파악을 위해 거주자에게 화재통보 지연2. 본질적으로 거주자에 대한 화재경보를 지연시켜 관계인이 화재상황을 조사하고 확인할 시간 부여개념도주요기능1. 훈련된 인원은 자도오하재탐지장치의 신호 후 15초 이내에 화재경보제어장치에서 확인2. 신호를 15초 이내에 확인하지 않으면 건물 대피 또는 야전계획에 따른 경보신호와 원격신호 즉시 작동3. PAS 작동시 180초 이내에 화재상황 확인 후 Reset 2. PAS 적용 예외사항 1) 경보조사단계(180초)에서 두번째 화재감지기 작동 2) 다른 화재 경보장치 작동 3) 관계인의 판단에 의해 180초 지연 불필요→ 화재경보 (지구경종).. 2024. 9. 29.
[소방기술사] 교차회로 방식, 송배전 방식 [소방기술사] 교차회로 방식, 송배전 방식1. 교차회로 방식구분내용정의교차회로 방식이란 감지기 회로를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비화재보를 방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화재감지에 따른 시간 지연 발생적용방식방호구역 A,B 2회로 감지기 모두 설치준비작동식, 일제살수식, 분말소화설비, 가스계소화설비A,B 두 회로가 모두 화재감지 되어야 경보 발신문제점감지기 작동시간 지연, 설비의 연동지연화재확대 가능성, 감지회로 불량시 설비 미작동대책특수형 감지기 사용 (축적형, 복합식, 아날로그, 불꽃 등)주기적인 유지관리, 점검 후  필요시 즉시 교체 2. 송배전방식 1) 정의: 감지기 회로 1개로 구성하여 도통시험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구성 2) 적용: 감지기 회로의 말단에 종단저항 설치하여 정상, 단락, 단선 시험 2024. 7. 1.
[소방기술사] 소방전선 [소방기술사] 소방전선1. 개념전선의 종류는 나전선(나동선)과 절연전선이 있으며, 옥내 배선 설비에서 절연전선에는 wire, 케이블 사용 2. 전선의 약호 1) 케이블의 주요 특성 및 구조별 재질, 형태 또는 제조방식 2) 통상적으로 도체(내부) > 시스 (외부) 순으로 순차 표기 3) 특성, 용도별 약호특성별용도별난연(flame retardant): FR-난연차수(F- & water Resistance): FW-저독성 (Halogen Free/Non-Halogen): HF제어용(Control): C소방용 내화 (Fire Resistance) :FR-8접지용(Ground): G 4) 구조별 약호 3. 소방용 전선의 종류구분내용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HFIX)도체: 연동선절연.. 2024. 5. 29.
[소방기술사] NFPA72 - Pathway Survivability (잔존능력) [소방기술사] NFPA72 - Pathway Survivability (잔존능력)1. 개념 1) 잔존능력, 생존능력 2) 경보설비가 화재시에도 피해 없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성능 2. Level 별 구분구분내용Level 0경로의 잔존능력 없음Level 1내부도체, 케이블 금속 외장 케이블에 의해 보호받는 경로가 자동식 스프링클러에 의해 방호Level 22시간 내화도 능력의 회로 케이블2시간 내화도 능력의 케이블 설비2시간 내화도의 방호구역이나 방화구획관계기관에서 승인한 내화성능의 대체 설비Level 3Level 2 + 경로가 자동식 스프링클러에 의해 방호Level 41시간 내화도 능력의 회로 케이블1시간 내화도 능력의 케이블 설비1시간 내화도의 방호구역이나 방화구획관계기관에서 승인한 내화성능의 대체.. 2024. 5. 28.
[소방기술사]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구조, 작동원리, 특성, 설치기준, 주의사항 [소방기술사]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구조, 작동원리, 특성, 설치기준, 주의사항1.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구조 1) 강철선 2) 열가소성 수지 절연체 (Insulation) 3) 보호테이프(Binder): 폴리에스테르 4) 난연성 재질의 피복 : PVC Sheath 2.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작동원리 1) 화재발생으로 대류열이 감지선 열전달 2) 감지기의 가용절연물로 열이 용융온도까지 가열 3) 가용절연물이 용융되어 선로간 접촉으로 단락 발생 4) 감지기 내부 제어반에서 단락신호 감지하여 수신반 신호전달 3.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특성 1) 감지기를 설치한 어느지점에서도 감도가 동일 2) 주위조건에 따라 선형감지기의 사용 온도폭이 넓다 3) 부식, 화학물질, 먼지, 습기 등에의 환경영향 없다 4).. 2024. 5. 1.
[소방기술사] 연기감지기 설치기준 [소방기술사] 연기감지기 설치기준 1. 설치장소 1) 계단, 경사로,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2) 복도 (30m 미만의 것 제외) 3) 승강기 승강로,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트 피트 등 유사장소 4)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 ~ 20m인 장소 5) 취침, 숙박, 입원 등 이와 유사한 용도의 거실 - 공동주택, 오피스텔,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 합숙소, 의료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조산원, 고시원 2. 설치기준 1) 부착높이: 아래의 부착높이에 따라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 구분 1,2종 3종 4m 미만 150㎡ 50㎡ 4 ~ 20m 75㎡ -- 2) 설치거리 구분 1,2종 3종 복도, 통로 보행거리 30m 보행거리 20m 계단, 경사로 수직거리 1.. 2024. 4. 21.
[소방기술사] 불꽃감지기 - UV감지기, IR감지기 [소방기술사] 불꽃감지기 - UV감지기, IR감지기 불꽃감지기는 감지기 중에서 성능이 좋은 감지기로, 천장(반자) 높이가 20m 이상인 곳에서 아날로그 방식인 불꽃감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성능이 좋은 만큼 가격도 비싸다. 가정에 설치를 권장하는 단독형감지기와 가격을 비교해보면 어떤 감지기인지 대충 감이 올 것이다. 불꽃감지기는 화염 불꽃에서 발산되는 적외선(IR, InfraRed), 자외선(UV, UltraViolet)을 각각 검출하거나 동시에 검출하는 감지기를 뜻한다. UV감지기 원리: 광전효과(물질이 빛을 흡수하면 광전자를 방출하여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대표적으로 태양광 발전이 있음)에 의해 UV의 수광량이 증가하면 이 변화량을 감지하여 화재경보를 보낸다. 동작방법 1. 화재시 불꽃에서의 자외선.. 2023. 11.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