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격증/소방기술사294

서천시장 화재,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가지 서천시장 화재,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가지 1. 서천시장 화재, 재산피해액 823억에 달해 서천군의 서천특화시장에서 지난 1월 22일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부상 28명으로 사망자는 없었으나 재산피해핵이 823억에 달한다. 시장의 특성상 화재하중이 높기 때문에 화재가 한번 발생하면 화재확산이 매우 빠르다. 화재알림설비 등 시장에는 전용의 소방시설을 설치하도록 하는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그럼에도 왜 화재를 막지 못한 것일까? 그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2. 가연성 SMC 천장재 이번 서천시장 화재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SMC(Sheet Molding Compound)이다.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SMC는 가볍고 단열성이 높아 마감재로 사용된다. SMC의 위험.. 2024. 2. 21.
[소방] 옥상광장 - 경사지붕 대피공간, 헬리포트, 인명구조공간 [소방기술사] 옥상광장 - 경사지붕 대피공간, 헬리포트, 인명구조공간 1.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재실자(건축물 내부에 있는 사람 모두를 지칭함)는 가장 먼저 안전한 장소도 대피, 피난해야한다. 화재에서 발생하는 열, 연기 등으로부터 위해를 받지 않기 위해 위험범위에서 벗어나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1층으로 피난하는 것이다. 하지만 화재 상황에 따라 1층으로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계단실로 대피해야 하는데 계단실 하부 혹은 중간에서 가연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경우 1층으로 내려갈 수가 없다. 이럴때는 외기와 접하는 옥상쪽으로 대피해야 한다. 이를 옥상광장이라고 한다. 일종의 fail-safe 개념으로, 1층으로 피난할 수 없는 경우 옥상광장으로 대피하여 .. 2024. 2. 19.
갓복도식 공동주택의 경우 급기가압방식의 제연설비만 설치하면 될까? 갓복도식 공동주택의 경우 급기가압방식의 제연설비만 설치하면 될까? 1.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란? 아파트는 크게 복도식과 계단식으로 나눌 수 있다. 90년대 이전에 지어진 대부분의 아파트는 복도식이었다. 복도식은 말 그대로 긴 복도가 있는 아파트이다. 긴 복도에 여러 세대의 집이 배치되어있다. 반대로 계단식 아파트의 경우에는 계단을 중심으로 2개의 세대만 구성이 되어있다. 복도식과 계단식 아파트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요즘은 거의 대부분 계단식 아파트를 선호한다. 엘리베이터 이용, 집안 환기, 치안문제 등 웬만해서는 요즘 복도식 아파트를 짓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서울에 있는 90년대식 아파트 중 작은 평수의 경우에는 복도식인 경우가 꽤 있다. 복도식 아파트는 사실 피난 관점에서는 계단식 아파트보다 안전.. 2024. 2. 17.
[소방기술사] 급기의 기준, 외기취입구의 기준, 급기구의 기준, 급기송풍기의 기준 [소방기술사] 급기의 기준, 외기취입구의 기준, 급기구의 기준, 급기송풍기의 기준 문제: 부속실, 계단실 급기가압에서 급기의 기준, 외기취입구의 기준, 급기구의 기준, 급기송풍기의 기준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급기의 기준 1) 동일 수직선상의 모든 부속실은 하나의 전용수직풍도로 동시에 급기 2) 하나의 수직풍도마다 전용의 송풍기 설치 3) 비상용승강기의 승강로: 급기풍도로 사용가능 4) 부속실의 수직풍도를 통해 계단실로 급기 가능 2. 외기취입구의 기준 1) 연기 또는 공해물질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취입하지 않는 위치 2) 이격거리 배기구 옥상외곽면 수평거리 5m이상 이격 수직거리 1m이상 낮게 설치 3) 빗물과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는 구조 4) 외기 풍속, 풍향이 취입 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치.. 2024. 2. 6.
소방기술사 132회 후기 및 예상점수 정리 소방기술사 132회 후기 및 예상점수 정리 2024년 1월 27일 소방기술사 132회 필기시험을 치르고 왔습니다. 장장 오전 9시부터 17시 20분까지 이어진 400분동안 보는 시험입니다. 한번 시험을 보면 진이 다 빠집니다. 그래도 4번째 기술사 필기시험이라 그런지 많이 적응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어떤 문제를 풀었는지, 푼 문제에 대한 예상점수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소방기술사 132회 후기 1) 1교시가 가장 어려웠다. 생각보다 지엽적인 내용이 많이 나왔다. 어? 아는 문제인가 싶다가도 책에 써있지도 않는 내용, 책에 아주 작은 귀퉁이에 있는 내용을 묻고 있다. 만약 처음 시험을 보신분이라면 1교시부터 모르는 게 많아 주눅이 들었을 것 같다. 그래도 1교시는 10문제를 다 쓰는 게 .. 2024. 1. 30.
(2024년 개정)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개정 - 지정수량 변경, 명칭 변경 (2024년 개정)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개정 - 지정수량 변경, 명칭 변경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이 개정되었습니다. 위험물은 소방기술사 시험에 단골로 출제되는 개념입니다. 소방기술사 시험을 준비하신다면 꼭 알아두셔야 겠습니다. 1. 제 1류 위험물 변경사항 1) 브롬산염류 > 브로민산염류 2) 요오드산염류 > 아이오딘산염류 3) 과망간산염류 > 과망가니즈산염류 4) 중크롬산염류 > 다이크로뮴산염류 일본식 영어를 미국식 영어 단어로 바꾼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에는 침 속에 들어있는 탄수화물 분해물질인 아밀라아제가 아니라 아밀레이스로 배운다고 합니다. (저도 아밀라아제로 배웠습니다.) 일본식 잔재를 없애는 건 아주 옳은 일이라 생각합니다. 바뀌는 게 공부하시는 분들 입장에서는 귀찮을 수 있지만, 미래를 위.. 2024. 1. 26.
[소방기술사] ESFR 3가지 특성요소 - 소방기술사 120회 4교시 2번 [소방기술사] ESFR 3가지 특성요소 - 소방기술사 120회 4교시 2번 스프링클러설비는 소방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설비이다. 물을 이용해 확실한 소화가 가능하며 화재를 진압하지 못해도 건축물 내부에 있는 재실자에게 화열 및 연기로부터 지켜줄 수 있는 설비이다. 스프링클러만 제대로 작동해도 큰 화재는 대부분 막을 수 있다. 문제: ESFR의 3가지 특성요소를 기술하시오. 1. ESFR 개념 (Early Suppression Fast Response) 정의: 화재조기진압형 헤드. 화재를 초기에 감지하여 많은 방사량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헤드이다. 특징: 열에 의한 감도 성능이 우수하며, 강력한 화재 진압을 위해 방수량이 다른 스프링클러 헤드에 비해 크다. 랙 창고 등 천장고가 높은 장소에 화재.. 2024. 1. 21.
[소방기술사]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란? [소방기술사]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표 랜드마크 건물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서울을 기준으로 한다면 여의도의 63빌딩, 잠실의 롯데타워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인천, 등등에도 랜드마크라 할 수 있는 건물들이 있습니다. 명칭 층수 높이 위치 63빌딩 60층 249.6m 서울시 영등포구 목동 하이페리온 69층 256m 서울특별시 양천구 타워팰리스 3차 G동 69층 263.7m 서울특별시 강남구 해운대 두산위브 더 제니스 80층 300m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동북아무역타워 68층 305m 인천광역시 연수구 롯데월드타워 123층 554.5m 서울특별시 송파구 이런 높은 초고층 건축물을 마천루라고도 합니다. 하늘을 찌를듯한 건물이라는 뜻입니다. 이런.. 2024. 1. 20.
가스계소화약제 비체적 공식 - 아보가드로 법칙, 샤를의 법칙 가스계소화약제 비체적 공식 - 아보가드로 법칙, 샤를의 법칙 가스계소화약제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닐까 싶다. 결국 소방기술사에서 가스계소화약제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약제용기가 저장실에 몇 병이 들어가느냐이다. 그걸 알기 위해서는 방호구역에 어느정도의 가스계약제가 방사되어야 하는지, 가스계약제를 저장할 용기가 몇 개가 필요한지를 구해야 한다. 비체적이라는 단어를 우리가 자주 접하지 않아서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다.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소방기술사] 청정소화약제 조건, 종류 가스계소화약제는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약제이다. 잔여물이 남지 않아 화재 진화후에도 뒷처리가 깔끔하다. 전기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C급 화 ikkujun.com 비체적, 샤를의 법칙 비체적: 단위 질.. 2024. 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