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자격증457

소방에서 수동(passive), 능동(active) 시스템이란? 소방에서 수동(passive), 능동(active) 시스템이란? 1. 불을 끄는 것만이 소방이 아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해야하는 건 2가지다. 피난과 소화다. 화재가 발생한 건물 안에 있는 재실자는 지상층 혹은 피난층 등 화재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피난). 그리고 화재가 성장하여 건축물의 다른 부분까지 확산되지 않도록 소화를 해야 한다. 이때, 소화의 방법은 2가지로 나뉜다. 수동시스템, 능동시스템이다. 2. passive (수동) system 정의: 부분화(partition)를 통해 화재를 한정하면서 화재의 가혹도 또는 화재하중을 낮추는 방법 예시 방화구획(내화구조 포함): 내화구조의 벽, 바닥과 방화댐퍼, 방화문 등을 통해 화재확산을 최소화 배연창(건축법): 화재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일부러.. 2024. 2. 26.
하천매설배관 심도 기준은 어느부분까지인가? 하천매설배관 심도 기준은 어느부분까지인가?1. 하천매설배관이란?상수관, 하수관, 가스배관 등은 필요에 따라 하천을 횡단해야 한다. 이때, 하천을 횡단하며 매설된 배관을 하천매설배관이라 한다. 하천을 횡단하려면 일반적으로 매설하는 경우보다 깊게 매설해야 한다. 하천바닥이 세굴되어 배관이 노출될 수 있고, 만약 노출시 부력에 의해 배관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하천을 횡단하는 배관은 일반적인 기준보다 더 깊게 매설한다. 일반 도로, 시가지 등의 경우에는 경우마다 다르지만 보통 1.2 ~ 1.5m 정도에 매설한다. 2. 하천의 구분하천국가하천지방하천하천법 제2조 (정의) 1. “하천”이라 함은 지표면에 내린 빗물 등이 모여 흐르는 물길로서 공공의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제7조제2항 및 제3항에 따라 .. 2024. 2. 24.
서천시장 화재,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가지 서천시장 화재,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 2가지 1. 서천시장 화재, 재산피해액 823억에 달해 서천군의 서천특화시장에서 지난 1월 22일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부상 28명으로 사망자는 없었으나 재산피해핵이 823억에 달한다. 시장의 특성상 화재하중이 높기 때문에 화재가 한번 발생하면 화재확산이 매우 빠르다. 화재알림설비 등 시장에는 전용의 소방시설을 설치하도록 하는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그럼에도 왜 화재를 막지 못한 것일까? 그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2. 가연성 SMC 천장재 이번 서천시장 화재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SMC(Sheet Molding Compound)이다.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SMC는 가볍고 단열성이 높아 마감재로 사용된다. SMC의 위험.. 2024. 2. 21.
[소방] 옥상광장 - 경사지붕 대피공간, 헬리포트, 인명구조공간 [소방기술사] 옥상광장 - 경사지붕 대피공간, 헬리포트, 인명구조공간 1. 화재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재실자(건축물 내부에 있는 사람 모두를 지칭함)는 가장 먼저 안전한 장소도 대피, 피난해야한다. 화재에서 발생하는 열, 연기 등으로부터 위해를 받지 않기 위해 위험범위에서 벗어나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1층으로 피난하는 것이다. 하지만 화재 상황에 따라 1층으로 피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계단실로 대피해야 하는데 계단실 하부 혹은 중간에서 가연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경우 1층으로 내려갈 수가 없다. 이럴때는 외기와 접하는 옥상쪽으로 대피해야 한다. 이를 옥상광장이라고 한다. 일종의 fail-safe 개념으로, 1층으로 피난할 수 없는 경우 옥상광장으로 대피하여 .. 2024. 2. 19.
갓복도식 공동주택의 경우 급기가압방식의 제연설비만 설치하면 될까? 갓복도식 공동주택의 경우 급기가압방식의 제연설비만 설치하면 될까? 1. 갓복도식 공동주택이란? 아파트는 크게 복도식과 계단식으로 나눌 수 있다. 90년대 이전에 지어진 대부분의 아파트는 복도식이었다. 복도식은 말 그대로 긴 복도가 있는 아파트이다. 긴 복도에 여러 세대의 집이 배치되어있다. 반대로 계단식 아파트의 경우에는 계단을 중심으로 2개의 세대만 구성이 되어있다. 복도식과 계단식 아파트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요즘은 거의 대부분 계단식 아파트를 선호한다. 엘리베이터 이용, 집안 환기, 치안문제 등 웬만해서는 요즘 복도식 아파트를 짓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서울에 있는 90년대식 아파트 중 작은 평수의 경우에는 복도식인 경우가 꽤 있다. 복도식 아파트는 사실 피난 관점에서는 계단식 아파트보다 안전.. 2024. 2. 17.
기술사 공부는 잠재의식에 지식을 심는 것이다 기술사 공부는 잠재의식에 지식을 심는 것이다 이번에 소방기술사 132회 필기시험을 치르고 왔다. 소방기술사 132회 후기 및 예상점수 정리 소방기술사 132회 후기 및 예상점수 정리 2024년 1월 27일 소방기술사 132회 필기시험을 치르고 왔습니다. 장장 오전 9시부터 17시 20분까지 이어진 400분동안 보는 시험입니다. 한번 시험을 보면 진이 ikkujun.com 131회 이후 5개월동안 빡세게 공부한 게 나름 효과가 있었다. 이전 시험보다는 확실히 답안지를 잘 썼다. 난이도는 쉬운편은 아니였다. 점수가 이전보다 오를지 떨어질지는 모르지만, 내 실력 자체가 상승했다는 걸 많이 느꼈다. 이번 소방기술사 132회 시험을 치르고 기술사 공부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1. 기술사 시험의 특징 1).. 2024. 2. 7.
[소방기술사] 급기의 기준, 외기취입구의 기준, 급기구의 기준, 급기송풍기의 기준 [소방기술사] 급기의 기준, 외기취입구의 기준, 급기구의 기준, 급기송풍기의 기준 문제: 부속실, 계단실 급기가압에서 급기의 기준, 외기취입구의 기준, 급기구의 기준, 급기송풍기의 기준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급기의 기준 1) 동일 수직선상의 모든 부속실은 하나의 전용수직풍도로 동시에 급기 2) 하나의 수직풍도마다 전용의 송풍기 설치 3) 비상용승강기의 승강로: 급기풍도로 사용가능 4) 부속실의 수직풍도를 통해 계단실로 급기 가능 2. 외기취입구의 기준 1) 연기 또는 공해물질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취입하지 않는 위치 2) 이격거리 배기구 옥상외곽면 수평거리 5m이상 이격 수직거리 1m이상 낮게 설치 3) 빗물과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는 구조 4) 외기 풍속, 풍향이 취입 공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치.. 2024. 2. 6.
국가기술자격증 시험 아날로그 시계로 챙기세요 국가기술자격증 시험 아날로그 시계로 챙기세요 이번에 132회 소방기술사 시험을 치르고 왔습니다. 시험 2틀전에 개인시계 소지 관련 문자가 왔습니다. 제 시계는 디지털이라 타이머로 시간을 재면서 시험을 치뤘는데, 이제 디지털 시계는 소지가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문자를 보자마자 부랴부랴 아날로그 시계를 구매해서 시험장으로 향했습니다. 1. 이제 디지털 시계는 안된다 위에 강조표시한 부분만 보시면 됩니다. 이제 디지털 기능이 조금이라도 들어간 시계는 반입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오로지 시침, 분침으로만 구성된 시계만 허용하겠다고 합니다. 전자기기를 통한 부정행위 사례가 많이 적발되나 봅니다. 기술사 시험은 부정행위한다고 해서 되는 시험이 아닌데, 기사나 기능사 시험은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24년.. 2024. 2. 5.
진동의 단위, kine [cm/s] 진동의 단위, kine [cm/s] 진동의 단위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저는 헤르츠(Hz)만 알고 있었는데, kine 이라는 진동 단위가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도 진동 기능이 있으니 진동 속도를 측정해볼 수 있겠네요. 특히 kine이라는 진동 단위는 발파작업에서 충격파의 크기를 가늠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터널 공사를 위해 발파를 할 때 폭발로 인한 진동이 어느정도가 될지, 가까운 마을에 얼마만큼의 진동이 가해질지를 정략적으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진동으로 인한 건축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적정한 발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동, 진동의 단위 Vibration 1) '물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하나의 점을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왔다갔다 하면서 움직이는 상태' .. 2024. 1.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