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소방기술사187

[소방기술사] 무선통신보조설비 [소방기술사] 무선통신보조설비1. 무선통신보조설비 개념 1) 소방대: 화재시 소화 및 구조활동 위한 관계자와의 교신 목표 2) 지하층, 고층 건축물의 전파 방해요인을 해소하고자 도입 및 개발 2. 설치대상구분내용설치대상1. 지하가로서 연면적 1000㎡이상2. 지하층의 바닥면적 합계 3000㎡이상시 전 층 적용3. 지하층의 층수 3개층 이상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 1000㎡ 이상시 지하 전층4.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5. 지하가 중 공동구6. 30층 이상시 16층 이상 부분 모든 층제외대상지하층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바닥부분 2면 이상이 지표면과 동일하거나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 1m 이하인 경우 해당층 한하여 제외 3. 무선통신보조설비 종류 1) 누설동축케이블 : 터널, 지하철 역 등 폭이.. 2024. 5. 15.
[소방기술사] 무선통신보조설비 - 설치대상, 제외대상, 누설동축케이블과 옥외안테나 설치기준 [소방기술사] 무선통신보조설비 - 설치대상, 제외대상, 누설동축케이블과 옥외안테나 설치기준1. 무선통신보조설비 설치대상 및 제외대상구분내용대상1. 지하가로서 연면적 1000㎡이상2. 지하층의 바닥면적 합계 3000㎡이상 (지하 전층에 적용)3. 지하층의 층수 3층 이상, 지하층 바닥면적 합계 1000㎡이상시 지하 전층4.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 500m 이상5. 층수 30층 이상으로 16층 이상 부분의 모든 층6. 지하구 중 공동구제외지하층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바닥부분 2면 이상이 지표면 동일 or 깊이 1m 이하인 경우 2. 누설동축케이블, 옥외안테나 설치기준구분내용누설동축케이블소방전용 주파수대, 소방전용의 것불연 또는 난연성의 것, 습기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전기의 특성 변질되지 않을 것노출 설치.. 2024. 5. 14.
[소방기술사] 착화파괴형 폭발과 누설착화형 폭발의 예방대책 [소방기술사] 착화파괴형 폭발과 누설착화형 폭발의 예방대책1. 폭발재해 형태구분내용화학적폭발착화파괴형용기, 배관에 가스가 충만 시 주위 착화원에 의해 착화되어 압력이 상승하는 파괴형 폭발VCE누설착화형용기에서 가스가 누설되어 주위 착화원에 의해 착화되어 폭발UVCE자연발화형반응열이 축적되어 자연발화이상시 폭발금수성 물질반응폭주형반응열의 급격한 축적에 의한 폭발실험실, 플랜트 폭발물리적폭발열이동형저비점의 액체가 고열물과 접촉하여 순간 상변화에 의한 폭발수증기 폭발, 저온액화가스 폭발평형파탄형고압액체가 들어있는 고압용기가 파손되어 고압액체의 증발에 의한 폭발Bleve, 보일러 폭발 2. 폭발방지 예방의 4요소 1) 가연물 : 가연성 물질의 불연화 또는 제거 2) 산소 :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조연성물질인 산.. 2024. 5. 12.
[소방기술사] 누전차단기 [소방기술사] 누전차단기1. 개념 1) 에너지가 있는 도선과 중립 도선 사이 전류 균형이 깨졌을 때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 2) 교류 600V 이하의 저압회로에서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 전기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차단기 2. 설치 목적 1) 인체에 대한 감전보호 2) 누전에 의한 화재예방 3) 전기기계 기구 손상방지 4) 다른 계통으로의 사고 파급방지 3. 누전차단기 구성 변류기, 차단부, 수신부 4. 누전차단기 설치대상 1) 대상  -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50V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 있는 곳  - 특고압전로, 고압전로, 저압전로와 변압기에 의해 결합되는 사용전압 400V 초과의 저압전로  - 독립된 무인 통신중계소, 기지국  - 일반인이 접촉할.. 2024. 5. 4.
[소방기술사] 특수가연물의 품목별 지정수량과 저장 및 취급방법 [소방기술사] 특수가연물의 품목별 지정수량과 저장 및 취급방법1. 특수가연물 품목별 지정수량 1) 개념: 위험물은 아니지만 화염전파가 빠른 지정수량 이상 가연물 2) 종류 및 지정수량구분지정수량면화류20kg나무껍질, 대팻밥400kg넝마류, 종이1000kg사류 (실)1000kg볏집류1000kg가연성고체류3000kg석탄, 목탄10000kg가연성액체류2㎥목재가공품10㎥고무, 플라스틱류 발포 - 20㎥미발포 - 3000kg 2. 특수가연물 저장 및 취급방법구분내용쌓는 기준살수설비 설치 - 높이 15m, 면적 200㎡살수설비 미설치 - 높이 10m, 면적 50㎡실내, 실외실외 대지경계선, 도로 및 건축물과 최소 6m 이상 이격(예외: 쌓는 높이보다 0.9m 이상 높은 내화구조 벽체 설치시)가연물간 이격거리 - 3.. 2024. 5. 3.
[소방기술사]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구조, 작동원리, 특성, 설치기준, 주의사항 [소방기술사]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구조, 작동원리, 특성, 설치기준, 주의사항1.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구조 1) 강철선 2) 열가소성 수지 절연체 (Insulation) 3) 보호테이프(Binder): 폴리에스테르 4) 난연성 재질의 피복 : PVC Sheath 2.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작동원리 1) 화재발생으로 대류열이 감지선 열전달 2) 감지기의 가용절연물로 열이 용융온도까지 가열 3) 가용절연물이 용융되어 선로간 접촉으로 단락 발생 4) 감지기 내부 제어반에서 단락신호 감지하여 수신반 신호전달 3.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특성 1) 감지기를 설치한 어느지점에서도 감도가 동일 2) 주위조건에 따라 선형감지기의 사용 온도폭이 넓다 3) 부식, 화학물질, 먼지, 습기 등에의 환경영향 없다 4).. 2024. 5. 1.
[소방기술사] 드렌처설비 설치 적용지침 - 설치기준 [소방기술사] 드렌처설비 설치 적용지침 - 설치기준1. 드렌처설비 수립기준 1) 건축물의 인접대지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하는 창문 등으로서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에 설치하는 드렌처설비와 소화설비가 동시에 사용되지 않는 것을 기준 2) 현행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지 않는 사항에 대해 규정 3) 드렌처설비만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와 소화설비와 겸용되는 경우 모두에 적용 4) 가압송수장치, 수원, 배관 등을 겸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각 설비의 기능과 성능에 지장이 없도록 함 2. 드렌처설비 설치기준구분내용대상1)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인접대지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하는 창문 등2)1층 3m 이내, 2층 이상 5m 이내3) 소규모건축물이고 1면의 개구부 수가 2개 이하인 경우 간이.. 2024. 4. 27.
[소방기술사]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설명 [소방기술사]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설명 1. 주방자동소화장치 개념 1) 주거용 상업용 주방에 설치하여 열발생 조리기구의 사용으로 인한 화재 발생시 열원을 자동으로 차단 소화약제 방출 장치 2) 주방화재는 대부분 가스화재 혹은 유류가 원인. 소화보다 차단이 중요 3) 물분무 등 소화설비가 설치되더라도 예외 없이 설치 해야함 2.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종류 가압식 축압식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가압가스를 별도의 전용용기에 충전한 방식 저장용기 중에 소화약제와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질소 등의 축압가스 함께 봉입 3.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구성요소 구분 내용 저장용기 강화액 소화약제 수신부 감지부로부터 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발하고 가스차단장치 또는 작동신호의 제어신호 발신 감지부 화재시 발.. 2024. 4. 23.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소방기술사]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1. 개념 송광부와 수광부에서 적외선을 주고받는 광축상에 연기가 유입시 수광량의 감소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 2. 구성 1) 송광부: 수광부로 적외선 방출 2) 수광부: 광선의 신호감도를 모니터링 3) 제어부: 광선의 신호감도가 화재상호아에 부합하는지 검사 4) 수신기: 화재신호 발신 5) 시험기: 감지기의 작동상태 시험할 수 있는 장치. 바닥에서 1.5m 3. 메커니즘 1) 송광부에서 수광부로 광원 송출 2) 연기 유입 3) 수광부의 수광량 감소 4) 전기적 변화감지 5) 화재신호 발신 4. 특징 1) 연기입자의 크기, 색상에 따른 감도의 영향 적음 2) 비가시성, 엷은 색 연기에 감도저하 우려 3) 발광부와 수광부 간 공칭감시거리 최.. 2024. 4.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