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동산11

이 책을 읽고 어떻게 투자해야할지 알았다 -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이 책을 읽고 어떻게 투자해야할지 알았다 -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투자에서 양대 축은 부동산과 주식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로 투자가 넓어졌지만, 수익성과 환금성면에서 주식과 부동산만한게 없다. 주식과 부동산에 투자하려면 경제, 금융을 알아야 한다. 경제를 모르고 투자를 했다가는 상투를 잡거나 손해를 볼 수 있다. 물론 투자라는 게 모두가 수익을 얻을 수는 없는 분야이다. 그래도 '나'는 수익을 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누가 투자를 손해보려고 하겠는가. 적어도 손해를 보지는 않으려면 경제를 알아야 한다. 경제를 알기 위해 여러 투자 책을 읽어보았지만, 경제의 전체적인 흐름을 알려주는 책은 없었다. 물론 '자본주의(EBS)'는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의 현실을 알려준 고마운 책이다. 하지만 .. 2023. 12. 2.
특약이란? 특약 잘 정해야합니다. 특약이란? 특약 잘 정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부동산 매매계약서, 임대차계약서 쓸 때 '특약'에 대해 들어보셨을 텐데요. 보험가입할 때도 특약이라는 단어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특약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특약 정의 特約 special contract 특별한 조건을 붙인 약속 특약 예시 위 사진은 실제 부동산 계약시 쓰는 양식입니다. 강조표시한 부분이 특약사항을 적는 곳입니다. 특약사항 위쪽에는 계약당사자, 계약기간, 계약금 날짜, 잔금 날짜 등 계약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적습니다. 특약이 있는 이유는 부동산 계약이 천편일률적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을 매수, 매도하는 사람 각각의 사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6억짜리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사람이 해당.. 2023. 4. 4.
미등기 전매란? (가등기 전매, 중간생략 등기) 미등기 전매란? (가등기 전매, 중간생략 등기)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이 안좋아짐에 따라 좋지 않은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손해를 최소화하려는 불법거래가 이뤄질 수도 있는데요. 이러한 불법 거래를 알고 방지하실 수 있는 게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등기 전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매 轉賣, Resale 우선 전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전매는 한자단어로, '다시 판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부동산 분양시장은 주로 선순위 분양 제도로, 아직 지어지지 않은 아파트를 돈을 지불하여 그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입주권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아파트라는 재화는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시간동안 구매 당사자에게 특정 일이 생겨 그 아파트.. 2022. 11. 4.
채권, 물권 차이 채권, 물권 차이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오늘은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 채권, 물권이라는 단어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말하는 채권투자에서 채권과 이번 포스팅에서 설명할 채권은 다른 뜻입니다. 채권투자에서 채권 - 債券 (국가, 지방 자치 단체, 은행, 회사 따위가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차입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유가 증권) 물권, 채권에서 채권 - 債權 (재산권의 하나.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어떤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물권 物權, real rights 특정한 물건(또는 재산권)을 직접 · 배타적으로 지배하여 이익을 향수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권리 물권은 말그대로 특정 물건이나 재산권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소유권입니다. 부동산을 예로 들어 설명.. 2022. 9. 6.
민간임대란? 공공임대와 다른 점 및 민간임대 활용법 민간임대란? 공공임대와 다른 점 및 민간임대 활용법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네이버부동산에서 아파트 단지를 보다보면 위와 같은 민간임대라고 써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민간임대는 어떤 거주형태를 말하는 것일까요? 민간임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민간임대는 '전세'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보통 임대아파트면 주공, 휴먼시아 등 LH, SH, GH 등 주택도시공사 등에서 '공공임대'로 월세 혹은 전세 형태로 주거지를 제공합니다.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누가 들어갈 수 있느냐'입니다. 공공임대는 소득, 자산 등을 따져서 일정 조건에 만족하는 사람만 입주할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및 서민층을 위한 주택이기 때문입니다. 약 2500만원 이하의 자동차를 소유해야 하고 금융자산은 약 3억 미만이어야.. 2022. 9. 2.
재건축, 리모델링 차이 - 부수냐 안부수냐(+ 각각 특징 정리) 재건축, 리모델링 차이 - 부수냐 안부수냐(+ 각각 특징 정리)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최근 윤석열 정부의 1기 신도시 재건축 공약 실행에 따라 여러 이야기가 많습니다. 공약을 실천해야 겠지만 그에 따른 어려움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건축, 리모델링 차이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재건축 기존 토지 등 소유자들이 조합을 결성하여 기존 건물을 밀고 새로운 건물로 다시 짓는 것 쉽게말해, 기존의 낡은 아파트를 다 때려부수고 새로운 아파트를 짓는 것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재건축 아파트는 래미안 블레스티지와 디에이치 아너힐즈가 있습니다. 재개발 재건축 차이 재개발 재건축 차이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여러분 부동산 시장에서 중요한 단어 중에 하나가 재개발과 재건축입니다. 두 단어.. 2022. 8. 28.
[부동산]다세대 다가구 차이 (공동주택 vs 단독주택) [부동산]다세대 다가구 차이 (공동주택 vs 단독주택)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많은 분들이 다세대 다가구를 헷갈려 하십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세대 다가구 차이를 알아보고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다세대 주택 다세대, 多세대 많은 세대가 살고 있다고 하여 다세대주택입니다. 세대는 일반적으로 혈연, 혼인, 입양 등 한 집안을 이룬 가족 단위를 말합니다.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바닥면적(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의 합계가 660㎡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 우리가 청약할 때 많이 나오는 말이 무주택 '세대'주입니다. 이는 전입신고의 기준입니다. 전입신고를 하는 기준이 '세대'입니다. 즉, 하나의 건물에 여러 .. 2022. 8. 24.
[부동산] 용적률, 건폐율 뜻 간단 정리 [부동산] 용적률, 건폐율 뜻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아파트의 가치를 정해주는 중요한 것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직장과 얼마나 가까운지, 교통편리성이 좋은지, 근처에 좋은 학교가 있는지, 근처에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있는지 등등 아파트는 이렇게 주변에 무엇이 있느냐에 따라 가치가 정해집니다. 아파트의 가치를 정해주는 것 중에는 용적률, 건폐율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많이들 헷갈려 하시는 단어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위 표를 보시면 용적률 349%, 건폐율 29%라고 되어있습니다. 용적률, 건폐율이 무슨 뜻일까요? 용적률 容積率 / floor area ratio 건물 연면적을 땅의 넓이로 나눈 비율 위와 같은 부동산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땅의 면적은 100㎡라고.. 2022. 7. 13.
부동산 등기란? 부동산 등기란? 안녕하세요. 아이꾸준입니다. 최근 부동산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부동산에서 쓰는 중요한 단어들이 많은데요 그 중에서 등기라는 단어가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등기(登記) / registration 국가기관인 등기관이 법정절차에 따라서 등기부에 부동산의 표시 또는 권리를 기재하는 것 또는 기재 그 자체 登: 오르다, 올리다 記: 기록하다, 적다 등기라는 단어는 풀이해보면 '기록한 것을 올리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우리가 등기라는 단어를 평소 들어보지 않았기에 좀 어색하게 들리고 낯설게 들리는 거라 생각합니다. 쉽게 말하면 매수자와 매도자간에 거래한 부동산 계약을 국가기관인 등기소에 등록하는 행위를 등기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등기라는 단어는 부동산에만 국한되어 사용하는 단어는 .. 2022. 6. 3.
728x90
반응형